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 시내 한복판에서 14일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와 연계된 자생 무장조직의 테러가 발생한 것은 충격적이다. 지난해 11월 프랑스 파리, 지난 12일 터키 이스탄불에서 테러를 감행한 IS가 처음으로 동남아 지역을 공격했기 때문이다. 이는 IS 테러가 유럽·미국과 중동을 넘어 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IS가 이미 미국 주도의 대테러 활동에 참여하는 한국 등 62개국을 ‘십자군동맹’으로 지목한 점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도 더 이상 테러 안전지대가 아님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다.
특히 IS가 일반인과 관광객 등 이른바 ‘소프트 타깃’을 겨냥했다는 점에서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무장괴한들은 파리 테러를 모방해 대형 쇼핑몰 등에서 동시다발로 자살폭탄 및 총격 테러를 가해 무고한 민간인들을 살상했다. 앞서 IS는 터키에서도 독일 단체관광객을 노린 자폭 테러를 벌였다. 일상 공간에서의 테러 공포감을 극대화하겠다는 속셈이다. 게다가 이번 테러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사전에 가능성을 감지하고 경계태세를 대폭 강화했음에도 막지 못해 동남아 각국엔 초비상이 걸렸다. 인접국인 말레이시아의 경우 테러 경보를 최상위 등급으로 상향 조정하기도 했다.
아시아 전역이 IS의 테러 위협에 처한 만큼 우리 정부도 대테러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세계 주요 도시에서 민간인을 겨냥해 무차별적 테러가 일어나는 양상이므로 국내 다중시설 보안을 강화하는 등 철저한 대비태세를 갖춰야 한다. 이를 위해 국내 IS 추종자 감시에 만전을 기해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무엇보다 체계적인 대테러 업무를 신속히 수행하기 위한 테러방지법이 국회에서 서둘러 통과돼야 한다. 정보기관의 권력남용 등이 우려된다면 여야가 적절한 안전장치를 마련해 법안을 처리하면 될 일이다.
[사설] IS 테러 아시아 확산… 테러방지법 제정 서둘러야
입력 2016-01-15 1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