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이 외교 최고위급 협의를 열고 북핵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중국과의 협조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논의가 벌어질 전망이다.
외교부는 16일 일본 도쿄에서 제2차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가 열린다고 15일 밝혔다. 임성남 외교부 제1차관과 미국 토니 블링큰 국무부 부장관, 일본 사이키 아키타카(齊木昭隆) 외무성 사무차관이 참석한다. 이들은 앞서 개별 회동한 6자회담 수석대표의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강력하고 포괄적인’ 대북 추가 제재 방안을 집중 모색할 예정이다.
실효적 제재를 위해 중국과 러시아의 역할에 대한 논의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과거사 분쟁을 끝내며 복원된 3각 공조의 성과가 얼마나 나타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국은 앞선 14일 중국 베이징에서 벌어진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 회담에서 ‘한·중 간 긴밀한 소통과 대응’을 강조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우다웨이(武大偉) 중국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는 “안보리의 새로운 대북 제재 결의를 통해 더욱 선명하게 북핵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 측 표현에 세찬 바람이 불어야 억센 풀을 알 수 있다는 말이 있다”고 덧붙였다. 한·중 관계를 해치지 않고 북핵 고비를 현명하게 넘어가자는 의미로 해석된다. 정부 소식통은 “중국은 이미 완성된 결의안 초안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의 무역·금융 활동이 중국과 관계가 많은 만큼 제재안을 검토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사드(THAAD)’ 배치 발언과 관련해서도 양측은 서로의 우려 사항을 전달하고 전반적인 협조 방향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준구 기자,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eyes@kmib.co.kr
1월 16일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 대북 추가 제재 방안 집중 모색
입력 2016-01-15 2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