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中에 ‘더 적극적인 대북 압박’ 요청

입력 2016-01-15 03:30
우리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14일 오전 김포공항에서 중국 출국에 앞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황 본부장은 이날 오후 베이징에서 중국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우다웨이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회동했다.연합뉴스

한·중 양국의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가 14일 만나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의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우리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베이징에서 중국 측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만나 협의를 가졌다. 황 본부장은 우 대표와 만찬을 함께한 뒤 15일 귀국할 예정이다.

황 본부장은 전날인 13일 서울에서 열린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측이 대북 압박에 더욱 적극적으로 동참해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더욱 강력한 제재 결의를 채택하기 위해선 중국의 협조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우 대표는 안보리 결의는 ‘합당한 대응’이 돼야 한다면서 과도한 제재에는 난색을 표했고, 6자회담 재개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황 본부장은 또 유엔을 담당하는 리바오둥(李保東) 중국 외교부 부부장과 만나 같은 입장을 전달했지만 중국 측은 대북 제재가 적절한 수위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점을 재차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주말인 16일에는 임성남 외교부 제1차관이 도쿄에서 토니 블링컨 미 국무부 부장관, 사이키 아키타카(齊木昭隆)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과 제2차 외교차관 협의회를 갖고 북핵 대응 방안을 논의한다. 임 차관과 사이키 차관 간 한·일 양자 협의에서는 ‘12·28 위안부 합의’ 이후 양국 관계 전반에 대한 논의도 할 것으로 보인다. 블링컨 부장관은 오는 19일 이틀 일정으로 방한해 윤병세 외교부 장관 및 임 차관과 면담을 갖고 한·미 차원의 대북 공조 방안을 협의한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