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감축량 미미… 서울시 ‘직매립 0’ 갈 길 멀다

입력 2016-01-15 04:01
탈취제를 실은 트럭이 12일 인천 수도권매립지 제2매립장에서 쓰레기더미의 냄새와 먼지 제거 작업을 하고 있다. 수도권 58개 시·군·구에서 나온 폐기물은 수도권매립지로 모인다.
하늘은 파랬고 갈매기들은 낮게 날았다. 볕을 등지고 나서야 땅이 보였다. 바쁘게 움직이는 거대한 트럭이 눈에 들어왔다. 트럭은 아슬아슬하게 쓰레기더미를 뱉어냈다. 차곡차곡 쌓인 쓰레기들은 섬을 이뤘다.

지난 12일 오전 인천 서구의 수도권매립지를 찾았다. 매립지에는 서울, 인천, 경기 지역 58개 시·군·구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이 묻힌다. 쓰레기 6400만t을 매립할 수 있는 제1매립장은 2000년 10월 이미 포화 상태가 됐다.

현재 사용 중인 제2매립장은 2016년 사용이 종료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대체매립지를 찾지 못하면서 환경부와 서울·인천·경기도 단체장으로 구성된 4자 협의체는 매립지 사용 기간을 연장하기로 지난 6월 합의했다. 아직 매립을 시작하지 않은 제3-1매립장이 포화상태에 이를 때까지다. 매립량을 줄이면 최대 10년 더 쓸 수 있다.

서울시는 2014년 ‘생활쓰레기 직매립 제로화 선언’을 발표했다. 2017년까지는 종량제 봉투에 담긴 생활쓰레기가 매립장에 그대로 묻히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는 게 골자다. 가정·사업장에서 배출된 생활쓰레기를 재활용·재사용으로 줄인 뒤 소각해 최종 매립량을 극도로 감소시키는 내용이다.

직매립 제로화, 가능할까

서울에서 수도권매립지로 향하는 생활쓰레기는 하루 500∼700t 정도다. 시는 자치구별 감량 목표를 할당하고, 반입량에 따른 수수료를 부과하는 ‘반입량 관리제’를 통해 생활쓰레기를 줄이겠다고 했다. 폐기물을 소각하는 자원회수시설의 성능을 개선하고, 서울 근교의 시설을 공동으로 이용해 소각량을 늘릴 계획이다.

매립지에 묻히는 생활쓰레기 양은 줄고 있지만 제로화까지는 갈 길이 멀다. 지난해 11월 서울에서 배출돼 매립지로 향한 생활쓰레기는 일평균 660t이었다. 1년 전 851t과 비교하면 200t가량 줄었다. 그러나 쓰레기가 많이 발생하는 여름에는 감소 폭이 크지 않았다. 지난해 7월 생활쓰레기 일 발생량은 718t으로, 1년 전에 비해 3t이 오히려 늘었다. 8월에도 1년 전 690t에 비해 2t가량을 줄이는 데 그쳤다.

서울시 관계자는 14일 “소각시설이 부족한 게 매립량이 줄지 않는 가장 큰 이유”라며 “생활쓰레기의 약 20%는 소각할 수 있지만 시설 부족 탓에 매립장으로 향한다. 하지만 소각시설 설치에 반대가 많아 현실적으로 시설을 늘리기는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쓰레기를 줄이려는 시민 실천이 가장 중요한데, 종량제 봉투 안에 비닐이나 음식물쓰레기만 넣지 않아도 하루 600t은 줄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가정과 사업장에서 재활용·재사용만 철저히 해도 쓰레기 양을 10분의 1 이하로 줄일 수 있는 셈이다.

기준 위반하는 생활폐기물은 ‘반출’

매립지로 반입된 생활쓰레기 봉투 중 음식물쓰레기나 의류 등 가연성폐기물이 다량으로 포함된 폐기물은 돌려보내진다. 쓰레기가 썩으면서 악취가 발생하고 침출수가 다량 배출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전히 수도권 매립지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골라 먹는 갈매기와 까마귀가 수도 없이 몰려든다. 분리수거가 제대로 안 되고 있다는 뜻이다. 매립지 관계자는 “예전보다 반출건수는 줄었다”면서도 “음식물쓰레기가 반입될 경우 매립지 관리를 제대로 할 수 없기 때문에 엄격하게 적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불량 쓰레기를 적발하기 위해 매립지 직원과 지역 주민들은 폐기물 일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 무작위로 트럭을 선별해 쓰레기를 전부 쏟아내 펼친 뒤 내용물을 확인한다. 이 중 불량 쓰레기가 20%가량 섞여 있으면 해당 지자체에 벌점이 매겨지고, 30%가 넘으면 반출 조치된다. 지난해 12월에는 서울 금천구와 중구, 성동구의 생활쓰레기가 규정 위반으로 반출됐다. 글·사진 인천=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