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13일 ‘12·28 한·일 위안부 합의’와 관련해 “여러 가지 현실적 제약이 있어 100% 우리가 만족하게 할 수는 없었다”면서도 “어려운 문제를 최대한 성의를 갖고 최상의 것을 받아내 합의가 되도록 노력한 점은 인정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박 대통령은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린 ‘대국민 담화 및 기자회견’에서 ‘일본이 법적 책임을 인정하지 않았는데 합의한 이유는 무엇이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또 ‘합의 무효’를 주장하는 야권을 겨냥해 “결과를 놓고 비판은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라며 “정작 자신들이 책임 있는 자리에 있을 때 문제 해결 시도조차 하지 못하고 이제 와서 무효화를 주장하고 정치적 공격 빌미로 삼는 건 참 안타까운 모습”이라고 했다.
위안부 문제가 조속히 해결돼야 했던 ‘시급 사안’이었음을 재차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아홉 분의 위안부 피해 할머니가 돌아가셔 마흔여섯 분밖에 남지 않았고 평균 연령이 89세다. 시간이 없다”면서 “한 분이라도 생존해 계실 때 사과를 받아 마음의 한을 풀어야 하지 않겠느냐”고 했다.
위안부 합의에 ‘일본군 관여 인정’ ‘일본정부의 책임 인정’ ‘일본정부 예산을 통한 보상’이 포함됐다는 점을 언급하며 “합의는 그 세 가지를 충실하게 반영한 결과”라고 했다. 또 “지금 오히려 같은 위안부 문제로 피해를 본 다른 동남아 국가들이 ‘한국 수준으로 이 문제를 풀어 달라’고 일본 정부에 요구하고 있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주한 일본대사관 앞 위안부 소녀상 이전 문제에는 “한·일 외교장관 공동 기자회견에서 발언한 내용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면서 “정부가 소녀상을 갖고 이래라 저래라 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자꾸 이상하게 왜곡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고, 없는 문제를 자꾸 일으키는 것”이라고 했다. 전날인 12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소녀상이) 이전될 것으로 본다”고 말한 걸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또 “앞으로 합의된 내용이 잘 이해되고 받아들여질 수 있도록 한국 정부는 최선을 다하겠지만 일본 정부와 언론이 어떻게 하는지도 대단히 중요하다”고 했다. 아울러 “왜곡된 내용이나 피해자들에게 상처를 주는 언행이 자꾸 나오면 국민 설득이 힘들어진다. 같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2·28합의 후 일본 언론에서 합의 내용을 왜곡한 보도가 쏟아진 걸 에둘러 비판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 대통령은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과 직접 만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상처가 아물면서 마음에 치유가 되는 과정에서 뵐 기회도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답했다. 아베 총리와의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선 “올해 국제회의가 많이 있어 그런 자리에서 자연스레 이뤄질 수 있다. 기회는 많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
“위안부 협상 100% 만족 어려워… 합의 노력 인정해야”
입력 2016-01-13 2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