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아베 진정 합의이행 원한다면 당연히 ‘육성 사과’해야

입력 2016-01-13 17:32
한·일 양국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법에 합의했지만 한국 사회에서는 수용할 수 없다는 목소리가 여전히 높다. 13일 박근혜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에서 한국, 일본 기자가 잇따라 관련 질문을 한 것은 이런 분위기 때문이라 하겠다. 박 대통령은 “100% 만족할 수는 없겠지만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을 다했다”며 “앞으로 한국 정부도 최선을 다하겠지만 일본 정부와 언론이 어떻게 하느냐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적절한 평가와 지적이다.

하지만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행태를 보면 위안부 문제의 원만한 종결은 쉽지 않아 보인다. 그는 12일 중의원에서 양국 외교장관회담 발표문에 명기된 ‘사죄와 반성’ 문구를 본인 입으로 천명하라는 야당 의원의 요구에 거부 입장을 밝혔다. 아베 총리는 “외교장관회담도 있었고, 박 대통령 사이에서도 말씀(사죄 언급)을 전했다. 그것으로 해결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실망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 지난달 28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이 기자회견에서 ‘일본국 내각 총리대신이 마음으로부터 사죄와 반성을 표한다’고 전했을 때 우리 국민은 당연히 아베 총리가 적절한 시기에 본인 육성으로 이를 재차 공표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래야 일본의 진정성을 확인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양국이 ‘최종적, 불가역적 해결’에 합의했지만 그것은 한국이 추가적인 합의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뜻이지 ‘사죄와 반성’을 다시는 입에 올리지 않는다는 걸 의미하는 게 아니다. 사실 일본이 진심으로 사죄함으로써 한·일 관계를 개선할 의사가 있다면 아베 총리가 방한해 위안부 피해자들을 만나 직접 사과하는 게 순리다. 그렇게 해야 피해자들이 용서를 하고, 우리 국민이 마음을 열지 않겠는가. 기시다 외무상이 언급한 ‘마음으로부터’가 외교적 수사(修辭)임이 확인될 경우 위안부 문제의 완결은 요원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