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에서 지난 3일 대규모 수하물 지연 사태가 발생한 원인은 운송라인 모터 고장에 이은 미흡한 초동조치, 늑장대응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인천공항공사는 당시 공항에 인파가 몰리며 수하물 처리에 과부하가 걸렸다는 식으로 설명해 거짓해명 논란까지 빚어지고 있다. 각종 세계공항평가에서 1위를 자랑하던 인천공항이 졸지에 국제적 망신거리로 전락했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국토교통부·인천공항공사 등 합동조사단은 인천공항 수하물 지연 사태에 대한 중간조사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최초 장애는 3일 오전 7시52분 탑승동에서 여객터미널로 향하는 수하물 운송라인의 모터 제어장치가 고장을 일으키면서 시작됐다. 사고를 감지한 수하물 처리시스템 운영센터 담당자는 모터 제어장치를 다시 구동하기 위해 원격으로 재가동을 시도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합동조사단이 확인한 결과 실제 재가동 조치는 실시되지 않았다. 현장 근무자는 장애 발생지점에 투입되지도 않았다.
초동조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사이 탑승동뿐만 아니라 여객터미널 쪽까지 연쇄적으로 수하물이 적체됐다. 탑승동 모터 고장의 여파가 공항 전체로 퍼졌다는 의미다. 이에 수천명의 승객이 제때 짐을 찾지 못했고, 항공편은 줄줄이 지연됐다.
합동조사단은 수하물 처리시스템에 비상상황이 발생한 직후 시스템을 자동에서 수동으로 전환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력을 투입해 강제로 수하물을 빼냈어야 한다는 얘기다. 그러나 인력은 처음 장애가 발생한 시각부터 무려 7시간34분이 지난 오후 3시26분 투입됐다. 이어 오후 4시가 돼서야 비로소 수하물 적체 상황이 해소되기 시작했다.
인천공항공사가 내세웠던 해명도 사실과 다른 것으로 드러났다. 공사는 당일 인천공항 이용객이 역대 가장 많은 수를 기록해 수하물이 적체됐다고 설명했다. 반면 합동조사단은 당시 수하물 투입물량이 시간당 7500개로 인천공항의 최대 수하물 처리용량인 시간당 1만4400개에 미치지 못했다고 전했다.
박완수 전 인천공항공사 사장이 임기를 2년 가까이 앞둔 지난달 사퇴하면서 경영공백이 현실화됐고, 인천공항의 수하물 대란 사태를 키웠다는 지적도 나온다. 수장의 자리가 비면서 조직기강이 해이해진 것 아니냐는 시각이다. 박 전 사장은 올해 총선 출마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사장은 창원시장을 지낸 지방공무원 출신으로 공항 업무에는 문외한이었다. 2014년 친박근혜계의 지원을 받아 새누리당 경남지사 경선에 나갔지만 패한 뒤 그해 10월 인천공항공사 사장에 임명됐다. 당시 ‘낙하산 인사’라는 비판을 받았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
인천공항 ‘수하물 대란’은 한심한 초동조치 탓… 합동조사단 중간조사결과
입력 2016-01-12 2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