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뺀 6자회담 5개국 대북압박 공조 나선다… 1월 13일 韓·美·日 수석 협의

입력 2016-01-11 22:11 수정 2016-01-11 23:26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응하기 위한 북핵 6자회담 당사국들의 공조가 가속화되고 있다.

6자회담의 우리 측 수석대표인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13일 서울에서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를 가질 예정이라고 외교부가 11일 밝혔다. 황 본부장은 협의 결과를 토대로 14일 중국 측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를 만날 예정이다. 외교부는 러시아와도 6자회담 수석대표 일정을 조율 중이다.

북한을 제외한 6자회담 당사국 5개국의 회동이 성사된 건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1주일 만이다. 한·미·일, 한·중, 한·러 간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이 잇따르는 건 그만큼 북한의 4차 핵실험의 심각성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은 지난달 3일 미국 워싱턴에서 회동한 이후 한 달 만이다. 한·미·일 3국은 ‘강력하고 포괄적인’ 대북 압박을 위한 대응 방침을 조율할 것으로 전망된다. 황 본부장과 성김 미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 이시카네 기미히로(石兼公博) 일본 아시아대양주국장은 강력한 대북 경고 메시지를 내놓는 한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및 양자 차원의 대북 제재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대북 압박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중국의 참여가 절실한 상황이다. 하지만 중국은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해 재차 ‘북핵 3원칙’을 제시하는 등 미온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한·미·일 3국은 설득과 압박 등 다양한 협상 카드를 통해 중국의 협조를 이끌어 내기 위한 전략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황 본부장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으로서 강력한 대북제재에 소극적 태도를 보여 온 러시아에 대해서도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를 통해 설득에 나설 예정이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