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銀 새 주인 어디에… 중동서 유럽으로 눈돌린다

입력 2016-01-10 21:13
우리은행 이광구 행장이 다음달 유럽으로 간다. 저유가 상황으로 중동 국부펀드의 우리은행 지분 인수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판단해 방향을 돌린 것으로 보인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 행장은 다음달 영국 런던과 독일 프랑크푸르트를 방문해 투자설명회(IR)를 연다. 경제 상황이 나아지고 있는 유럽에서 잠재적 투자자를 발굴해 민영화 불씨를 꺼트리지 않으려는 행보로 풀이된다.

지난 연말까지도 우리은행은 중동 국부펀드의 지분 인수를 포기하지 않았다. 정부는 지난해 우리은행 지분을 4∼10%씩 쪼개 파는 과점주주매각 방식을 발표했다. 이후 중동 국부펀드가 관심을 보였고, 정찬우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직접 중동을 방문해 관계자들을 만나고 왔다. 정 부위원장은 당시 “중동에서 지분 인수에 관심이 많다”며 기대를 숨기지 않았다. 다섯 번째 민영화 시도였다.

하지만 국제유가가 배럴당 20∼30달러선까지 내려앉으면서 재정난이 깊어지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우리은행 지분 4%를 인수하겠다는 의향까지 보인 것으로 알려진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극심한 재정난으로 오히려 기존에 가지고 있던 한국 기업의 주식까지 팔아치우고 있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 민간 측 위원장을 맡고 있는 윤창현 서울시립대 교수는 10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중동 국부펀드의 투자 가능성이 마침표를 찍은 것은 아니지만 열기는 식고 있는 것이 느껴진다”고 말했다.

유럽에서도 구체적인 투자 의향을 확인한 상황은 아니다. 윤 교수는 “양적완화 등으로 유럽에 돈이 돌고 경제가 나아지고 있어 잠재적 투자자를 발굴하는 차원에서 정부나 우리은행 누가 먼저라고 할 것 없이 유럽에서 IR을 해보자는 얘기가 나왔다”며 “전략적 투자자로서 유럽계 은행이나 한국 금융산업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유럽 선진 금융회사 등이 괜찮은 잠재적 투자자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지분 매각 방식의 민영화가 계속 무산되면서 일각에서는 국민주 방식도 거론되고 있다. 금융연구원 김우진 선임연구위원은 지난달 보고서에서 “조기 민영화를 위해 유효수요 확대가 가능한 국민주 방식을 새롭게 조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주 매각 방식은 저소득층 재산 형성을 위해 정부 또는 정부투자기관이 보유 주식을 다수 국민에게 대폭 할인된 가격으로 분산 매각하는 것을 말한다.

김 연구위원은 “국민주 방식이 매각가를 낮추는 등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원칙에 위배될 수 있지만 일반 투자자를 대상으로 할인 발행을 하지 않으면서 유효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이 있다면 국민주 형태 지분매각 방식이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