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아 키즈’ 유영(문원초 5)이 김연아의 역대 최연소 기록을 깨고 ‘한국 여자피겨스케이팅의 미래’로 우뚝 섰다.
유영은 10일 목동실내빙상장에서 열린 제70회 전국 남녀 피겨스케이팅 종합선수권대회 여자 싱글 시니어 프리스케이팅에서 기술점수(TES) 68.53점에 예술점수(PCS) 54.13점을 합쳐 122.66점을 얻었다. 전날 쇼트프로그램에서 61.09점으로 1위에 올랐던 유영은 프리스케이팅에서도 1위에 등극, 총점 183.75점으로 김연아의 후계자로 자리매김했다.
11세 8개월인 유영은 이날 우승으로 김연아가 지난 2003년 이 대회에서 작성한 역대 최연소 우승(12세 6개월) 기록을 갈아치웠다.
올해 6학년에 올라가는 유영은 첫 점프 과제인 트리플 러츠-트리플 토루프 콤비네이션 점프를 여유롭게 처리한 뒤 트리플 루프와 더블 악셀-트리플 토루프 콤비네이션까지 깔끔하게 소화하며 점수를 쌓았다. 2004년 5월 한국에서 태어난 유영은 싱가포르에 살던 6살 때 피겨를 시작했다. 당시 유영의 교재는 당시 전성기를 구가하던 김연아의 경기 장면이었다. “어릴 때 연아 언니의 동영상을 계속 돌려보면서 피겨선수의 꿈을 키웠어요.”
유영은 본격적인 선수생활을 이어가기 위해 2013년 운동 환경이 좋은 한국으로 돌아왔다. 143㎝, 31㎏에 불과한 어린 선수지만 빠른 스피드를 바탕으로 점프에서 김연아처럼 뛰어난 비거리를 자랑한다.
유영은 “이번 시즌을 앞두고 트리플 악셀(공중 3회전반)을 연습해봤는데 완성도가 떨어졌다”며 “올해는 트리플 악셀 연습을 계속 해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유영이 국제무대에서 두각을 나타내려면 트리플 악셀 같은 고난도 점프가 반드시 필요하다.
국내 최고 선수로 우뚝 섰지만 유영은 나이 제한 때문에 세계선수권대회(2015년 7월 기준 만 15세 이상)는 물론 세계주니어선수권대회(만 13세 이상)에도 출전할 수 없다. 선수보호를 위해 2003년 7월 1일 이전에 태어난 선수만 대표선수로 발탁될 수 있도록 규정이 바뀌면서 태극마크도 달 수 없다. 대신 이번 대회 2위 최다빈(수리고)과 5위 박소연(신목고)이 세계선수권대회 출전권을 얻었다.
이번 대회 여자 싱글에서 1∼5위에 오른 선수 가운데 초등학생이 무려 3명이나 포함돼 국내 여자피겨는 세대교체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남자 싱글 시니어부에서는 이준형(단국대)이 프리스케이팅에서 148.62점을 기록, 쇼트프로그램(75.10점) 점수를 합쳐 총점 223.72점으로 대회 2연패에 성공했다.
서완석 체육전문기자 wssuh@kmib.co.kr
‘연아 키즈’ 유영, 연아의 길을 간다… 女피겨 싱글 국내대회 최연소 우승 신기록
입력 2016-01-10 2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