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국제사회의 제재 강화 요구에 ‘대화’를 강조하고 있는 가운데 북한과의 접경지대는 과거와는 다른 분위기가 감돌고 있다.
북·중 교역량의 70%를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랴오닝성 단둥의 한 소식통은 10일 “핵실험 전 중국에 알리지 않은 것에 대해 중국 사람들이 가장 크게 불만을 갖고 있는 것 같다”면서 “단둥의 분위기는 정말 안 좋다”고 했다. 그는 “세관의 통관 절차도 까다롭게 진행되는 것으로 안다”면서 “국경수비대의 감시도 강화됐다”고 전했다. 일부 밀무역 거래에 대한 단속이 강화됐다는 보도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다른 소식통은 “밀무역은 말 그대로 몰래 하는 것인데 큰 변화는 없는 것 같다”면서 “다만 엄중한 분위기라 조심들 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북측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접경지대에 대한 한국 언론들의 취재에 북한 당국은 중국 측에 강력하게 항의했고, 이에 따라 중국 당국은 한국공관을 통해 한국 기자들의 자진 철수를 요청했다. 북한 접경지역 관광업체들에 관광객들을 북한 쪽으로 접근시키지 말라는 중국 당국의 긴급 지시도 내려졌다고 교도통신은 전했다. 단둥의 경우 북한 주민들의 모습을 바로 앞에서까지 볼 수 있게 유람선을 운행해 왔지만 북 핵실험 이후 북한 쪽으로 배를 접근시키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을 자극하지 않기 위한 조치라는 분석이다.
통관 절차 강화 등의 모습은 일단 접경지역 경계수위 상승에 따른 결과로 볼 수 있다. 나아가 중국 당국이 의지를 갖고 북한에 대한 ‘독자적인 제재’ 차원으로 격상시킬지 여부에 관심이 모아진다. 한 베이징 외교소식통은 “중국이 기존 유엔 제재 결의를 법대로만 엄격히 집행하기만 해도 북한은 큰 타격을 받게 된다”고 말했다. 중국은 실제 2012년 12월 실시된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와 관련, 처음으로 안보리 결의 2087호를 엄격히 집행하라는 내용의 통지를 관계기관에 하달했었다. 당시 통관 검사 강화, 북한 국적자의 출입경 조사 강화, 수하물 검사 강화, 중국 내 북한은행들의 미인가 영업 및 환치기 제동 등의 조치를 취했다.
이런 가운데 중국 관영 CCTV는 중국 동북지역을 관할하는 선양군구 산하 제39집단군이 탱크부대 등을 동원해 지난달 24일 산악진격 훈련이 포함된 동계훈련을 실시했다고 전하며 1분39초 분량의 관련 영상을 지난 8일 방영했다. 교도통신은 추가 대북제재안 마련에 들어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핵 개발 부품 조달에 관여하고 있는 북한 무역회사 ‘남천강 무역’ 관계자들을 입국금지 및 자산동결 대상에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관련기사 보기]
[北 4차 핵실험 후폭풍] 단둥지역 통관절차 한층 강화… 관광객 선박 北 접근도 금지
입력 2016-01-10 2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