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핵놀음 계속하겠다는 김정은 반드시 응징해야

입력 2016-01-10 17:44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한반도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북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는 10일 ‘수소탄 실험’을 자위적 조치라고 강변하면서 핵실험을 계속할 뜻을 굽히지 않는 반면 한·미 양국은 한반도에 미 전략무기인 B-52 폭격기를 전개하면서 북한의 후속 도발 위협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김정은은 인민무력부를 방문한 자리에서 연설을 통해 “우리가 단행한 수소탄 시험은 미제와 제국주의자들의 핵전쟁 위험으로부터 나라의 자주권과 민족의 생존권을 철저히 수호하며 조선반도의 평화와 지역의 안전을 믿음직하게 담보하기 위한 자위적 조치”라고 주장했다고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이날 보도했다. 북한이 지난 6일 4차 핵실험을 강행한 뒤 김정은의 관련 발언을 북한 매체가 보도한 것은 처음이다.

김정은은 북한 매체를 통해 국제사회의 제재 움직임에 정면으로 맞서겠다는 뜻을 피력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수소탄 시험)은 주권국가의 합법적 권리이며, 그 누구도 시비할 수 없는 정정당당한 것”이라는 김정은의 발언은 국제사회가 어떤 제재를 가하더라도 핵개발을 멈추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현인 셈이다. 실로 어이없고 한심한 발언이 아닐 수 없다. 김정은은 핵개발이 자주권과 생존권을 담보하는 것이 아니라 정반대의 결과를 초래한다는 점을 깨달아야 한다. 김정은이 핵개발을 포기해야만 국제사회로부터 북한 경제·민생 회복을 위한 각종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린다.

한·미 양국의 공조 아래 B-52 폭격기가 신속하게 한반도 상공에 출동한 것은 북의 추가 도발을 억제하는 강력한 수단이라는 점에서 평가할 만하다. B-52 폭격기는 2013년 2월 북한의 3차 핵실험 당시 30여일 만에 한반도 상공에 전개했었다. 그때와 비교하면 훨씬 빠르고 시의적절한 작전이다. 한·미 양국이 북한의 4차 핵실험을 한반도 비핵화를 염원하는 국제사회에 대한 정면 도전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행동이다. B-52 폭격기는 제2차 세계대전 때 일본 히로시마에 투하된 핵폭탄보다 폭발력이 10∼12배가량 큰 핵무기들을 탑재하고 있다. 이 폭격기는 미국이 동맹국에 ‘핵우산’으로 제공하는 핵심 공중 전력 가운데 하나다. 동맹국이 핵공격을 당하면 미 본토가 핵공격을 당한 것으로 간주해 기동하는 전력이다. 한·미 양국이 북한의 이번 핵실험을 ‘아주 위험한 전쟁놀이’로 보고 있다는 것을 김정은은 명심해야 한다.

북한의 4차 핵실험으로 야기된 남한의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 B-52 폭격기의 출동 등으로 인해 한반도 긴장 상태는 악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한·미 군 당국은 김정은이 현재 상황을 오판하지 않도록 유기적이고 빈틈없는 대비·공조태세를 유지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