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신당’이 8일 첫 외부 인사 영입을 발표했지만 곧바로 ‘부정부패 전력’ 논란에 휘말렸다. 합류 인사 5명 중에 ‘스폰서 검사’ 의혹에 휘말린 전직 검사 등 문제 전력을 가진 인사가 3명이나 들어간 것이다. 안 의원은 즉각 영입을 취소했지만 부정부패와 ‘갑(甲)질’ 퇴출을 강조해온 그동안 입장에 크게 어긋난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때마침 신당의 당명을 ‘국민의당’으로 확정해 발표하기 직전 ‘대형 사고’가 터지면서 신당 바람에 찬물을 끼얹었다는 평가까지 나온다.
한상진 창당준비위원장은 서울 마포구 일신빌딩 사무실에서 호남 출신인 김동신 전 국방부 장관, 허신행 전 농림수산부 장관, 한승철 전 대검 감찰부장, 안재경 전 경찰대학장, 이승호 전 육군본부 작전처장의 입당식을 열었다. 하지만 이들 중 3명이 과거 비리 의혹 사건 연루자였던 사실이 곧바로 드러났다.
우선 한 전 감찰부장은 2010년 건설업자로부터 금품과 향응을 받았다는 이른바 ‘스폰서 검사’ 의혹에 휘말려 면직된 바 있다. 한 전 감찰부장은 2011년 대법원에서 무죄가 확정됐지만 도덕성 논란은 이어졌다.
김 전 장관도 ‘북풍’ 사건 개입 의혹에 대한 청와대 조사를 무마하기 위해 전 청와대 행정관에게 금품을 건넨 혐의로 시민단체에 의해 고발된 뒤 2004년 2월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다. 허 전 장관은 2003년 서울농수산물공사 신입사원 채용 과정에서 국회의원 청탁을 받고 답안지 위조 등을 통해 해당 국회의원 후원회장의 자녀를 부정 채용한 혐의(업무방해 등)로 불구속 기소됐다.
이런 인사 영입은 안 의원이 새정치민주연합 시절 부패 혐의로 기소만 돼도 당원권 정지 등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에 정면 위배된다는 지적이다.
안 의원은 문제가 된 3명에 대해 영입 발표 2시간30분여 만에 영입을 취소했다. 그는 “진심으로 사과 드린다”며 “창당 준비 과정에서 철저한 검증 시스템 없는 상태에서 오류와 실수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신당은 당명을 ‘국민의당'으로 확정했다. 당명에는 안 의원을 상징하는 ‘새정치'라는 표현이 빠졌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표가 영입한 미술치료 전문가 김선현 차의과대학 교수가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그린 그림을 무단으로 사용했다가 소송 직전에 작품을 돌려줬다는 논란이 제기됐다. 또 김 교수가 펴낸 임상미술치료 서적이 다른 의대 교수가 학회지에 연재한 것을 표절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김 교수는 “구두 허락을 받았다”고 해명했지만 논란이 확대되자 결국 사퇴 의사를 밝혔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
‘安신당’ 첫 영입 5명 중 3명 취소… 더민주 영입 김선현 ‘사퇴’
입력 2016-01-08 21:13 수정 2016-01-09 0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