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총기규제 지지를 호소하기 위해 CNN 주최 TV토론에 참여하고 뉴욕타임스(NYT)에 칼럼을 실었다. 임기가 1년밖에 남지 않은 미국 대통령이 정책홍보를 위해 TV토론을 벌이는 동시에 신문에 칼럼을 싣기는 이례적이다. 그만큼 총기규제 저항이 만만치 않다는 걸 보여주는 것이지만 정책 지지를 끌어내기 위해 대선주자를 방불케 하는 현직 대통령의 소통의 노력이 돋보인다는 평가다.
오바마 대통령은 7일 오후(현지시간) 버지니아 조지메이슨 대학을 찾아 타운홀 미팅 방식의 토론회를 열었다. 객석에는 총기규제 지지자와 반대자 100여명이 섞여 앉았다. 총기규제에 맹렬히 반대하는 전미총기협회(NRA)는 토론회장 인근에 본부를 두고 있지만 이날 초대에 응하지 않았다. CNN은 72분간 진행된 토론을 생중계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토론회장 가운데 의자를 놓고 CNN 앵커 앤더슨 쿠퍼와 나란히 앉아 청중의 질문에 대답하는 형식으로 총기규제 강화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10년 전 대학시절 강간을 당했으나 지금은 두 아이의 엄마라고 밝힌 킴벌리 코반은 “총기규제 강화는 나 자신과 아이들을 지키기 위한 총기 소지를 어렵게 하는 것 아니냐”고 물었다.
오바마 대통령은 “모든 사람의 총기 소지를 억제하려는 것이 아니며,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높거나 심리적으로 총기를 소지하기에 적절치 않은 사람들이 총기를 갖는 걸 막으려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애리조나 출신 보안관이라고 밝힌 폴 베이브가 “행정명령이 총기 난사를 막을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하자, 오바마 대통령은 “모든 총기 사고를 막을 수 없겠지만 다른 사람이나 자기 자신을 해칠 우려가 있는 사람의 손에 총기가 쥐어져서는 안 된다”고 응수했다.
CNN은 토론 직전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67%가 오바마 대통령의 행정명령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57%는 행정명령이 총기 사고 희생자를 줄이는 데 효과를 거두지 못할 것이라고 대답했다.
한편 오바마 대통령은 NYT에 게재한 칼럼에서 “총기 사고로 미국에서 해마다 3만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한다”며 “총기 사고로부터 생명을 구하기 위해 우리 모두 책임을 나눠 가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특히 “총기규제를 추진하지 않는 후보는 지지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NYT는 오바마 대통령의 칼럼을 TV토론 1시간 전에 인터넷판을 통해 공개했다.
그러나 공화당의 대선 선두주자 도널드 트럼프는 “내가 대통령이 되면 학교나 군부대 내 총기금지구역을 모두 해제하겠다”며 총기규제에 반대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
오바마, 총기규제 될 때까지 설득하기… NYT 칼럼 쓰고 CNN 생방송 출연
입력 2016-01-08 2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