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7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잇따라 전화통화를 갖고 국제적인 대응체제 구축에 시동을 걸었다. 동맹국인 미국은 물론 일본과도 ‘강력하고 포괄적인 대북 제재’ 공조를 취하면서 대북 압박에 나선 것이다.
박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은 오전 9시55분부터 약 20분간 통화에서 북한의 4차 핵실험과 관련한 평가와 향후 대응방안을 심도 있게 협의하고 이처럼 의견을 모았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통화는 오바마 대통령이 전화를 걸어와 이뤄졌다. 두 정상 간 통화는 지난해 6월 이후 7개월 만이다.
두 정상은 전화통화에서 4차 핵실험을 강행한 북한에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도록 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북한의 핵실험이 역내 안정을 저해하고 여러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의무와 6자회담 의무를 위반하는 것”이라며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오바마 대통령이 한국에 대한 확고한 안보공약을 재확인하고 북한에 단호한 대응의지를 표명해준 데 대해 감사하다”며 “향후 유엔 안보리 등에서의 긴밀한 협력을 기대한다”고 했다. 두 정상은 아울러 한·미·일 3국 간 협력 및 중국 등과의 공조 필요성에 대해서도 인식을 같이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한·일 간 일본군 위안부 협상 타결에 대해 “정의로운 결과를 얻어낸 박 대통령의 용기와 비전을 높이 평가한다. 합의를 축하한다”고 하기도 했다.
박 대통령은 오후에는 아베 총리와 통화하고 유엔 안보리에서 강력하고 실효적인 조치가 포함된 결의안이 신속하게 채택될 수 있도록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또 북한 핵실험이 한반도 및 국제사회에 중대한 위협이 된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대북 제재를 위한 공조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통화는 오후 4시40분부터 15분간 이뤄졌다.
한편 박 대통령은 일본군 위안부 협상 타결 이후 일본 언론의 보도 행태에 쓴소리도 했다. 박 대통령은 아베 총리에게 “언론을 통해 합의 정신에 맞지 않는 언행이 보도돼 피해자들이 상처를 받지 않도록 각별히 유념하면서 잘 관리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그런 언행들은 합의를 통해 이 문제를 풀어나가는 데 있어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 언급은 ‘주한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이전이 일본의 기금 출연 전제’ 등 일본 언론 보도가 이어진 데 대해 일본 측에 주의를 요구한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통화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관련기사 보기]
[北 4차 핵실험 후폭풍] “강력하고 포괄적 대북제재 긴밀 협력”… 朴대통령, 미·일 정상과 통화
입력 2016-01-07 2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