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억 적자 버스회사 ‘부인·아들 임원’에 억대 연봉… 도넘은 서울업체 방만경영

입력 2016-01-07 22:17 수정 2016-01-08 09:07

시내버스 준공영제에 따라 서울시의 재정지원을 받는 버스 회사가 100억원대 적자를 내면서도 임원은 5억원 이상의 고액 연봉을 받는 등 방만한 경영을 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일부 버스회사는 부인, 아들, 사돈 등 가족과 친인척을 임원으로 내세워 사실상 족벌경영을 하면서 모두 억대 연봉을 챙기기도 했다.

이에 따라 적자보전을 위해 연간 수천억 원이 투입되는 준공영제 시내버스 회사에 대한 서울시의 관리·감독이 강화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서울시의회 김용석(더불어민주당·도봉1) 기획재정위원장은 7일 “서울시의 시내버스가 준공영제 시행 이후부터 2014년까지 지원한 재정지원금이 2조3000억원 규모에 달한다”며 “서울시 66개 시내버스 운송업체 중 65개 회사가 운송수지 적자인데도 임원 전원이 억대 연봉을 받고 있는 회사가 8개나 된다”고 밝혔다.

66개 시내버스 운송업체의 임원 214명 가운데 1억원 이상 연봉자는 79명, 2억원 이상은 23명으로 억대 연봉자(47.6%)가 절반에 육박하고 있다. 서울시 감사위원회의 시내버스 재정지원금 감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시내 66개 버스회사가 임원에게 지급한 2013년 급여는 준공영제 시행 전인 2003년 대비 123% 올라 평균 1억1800만원으로 집계됐다.

S운수회사의 경우 2012년 94억원, 2013년 98억원, 2014년 115억원 등 3년 연속 100억 가량의 운송수지 적자가 났는데 회사 대표 임원은 4억7000만∼5억5000만원 등 3년 연속 5억원 안팎의 고액연봉을 받았다.

또 다른 S사의 경우 60억원의 적자를 냈는데도 가족, 친인척 4명이 대표이사와 감사, 이사를 독차지해 2014년에만 4억~5억원씩 총 18억원의 연봉을 챙겼다.

D여객과 D교통의 경우 H씨와 또 다른 H씨가 두 회사의 대표이사(사내이사)와 회장을 겸직하면서 2014년 각각 1억원 이상의 고액 연봉을 받아갔다.

서울시 시내버스 운영체제는 2004년 7월부터 준공영제로 전환되면서 버스 사업자의 운송비용과 운송수입금의 차액을 서울시가 지원해왔다. 하지만 준공영제 시행 이후 버스회사 적자 규모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서울시는 버스회사들의 표준운송단가를 정확하게 산정하고 거품을 제거해 경영합리화를 유도해야 하는데도 오히려 적자폭을 줄인다는 이유로 지난해 6월 서울 시내버스 요금을 1050원에서 1200원으로 인상했다. 지난해 1월 발표된 감사원의 ‘교통보조금 집행실태’에 따르면 서울시는 보조금을 지급하는 과정에서 적정이윤을 과도하게 높여서 2013년에만 201억원을 더 줬다.

이에 따라 김용석 위원장은 서울 시내버스 재정지원과 안전 운행기준에 관한 조례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의 핵심은 그동안 시내버스 운송사업자가 직접 선택해온 회계감사 업체를 서울시와 공동으로 선정하고, 기존에 없던 외부 회계감사 결과 보고 시한을 다음연도 3월 말까지로 명시했다.

조례안은 버스회사 임원 인건비도 서울시가 연간 한도액을 권고하고, 준수 여부를 경영과 서비스 평가에 반영하도록 규정했다. 또 서울시장은 재정지원금 집행 내용, 운송수입금 관리 실태 점검 내용, 버스회사 경영정보 등을 온라인에 공개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