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왜 4차 핵실험을 새해 벽두인 1월 6일에 감행했을까. 과거 핵실험 타이밍을 보면 북한 내부의 권력 사정과 한·미의 정치 스케줄과 유독 연관이 많았다. 대북정책의 분기점이 될 수 있는 총선이나 대선 직전, 또는 대통령 취임일을 전후해 핵실험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1차 핵실험은 2006년 10월 9일에 있었다. 미국의 중간선거(2006년 11월 7일)를 한 달 앞둔 시점이었다. 당시 미국 대통령은 대북 강경론자였던 조지 W 부시였다. 북한이 무력도발로 부시 행정부의 대북정책 전환을 노렸다는 분석이 나왔다.
2차 핵실험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취임(2009년 1월 20일) 4개월 뒤인 5월 25일에 이뤄졌다. 오바마 행정부는 출범 초기 대북 유화 제스처를 취했는데, 당시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핵실험으로 이를 한방에 되돌려 놨다. 3차 핵실험이 단행된 시점(2013년 2월 12일)은 공교롭게도 오바마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해 2기 행정부가 출범(2013년 1월 21일)한 직후이자, 박근혜 대통령 취임(2013년 2월 25일)을 앞두고 있는 때였다. 한·미 양국의 대북정책을 시험해보고 영향을 미치려 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그 연장선상에서 북한 관련 전문가들은 한·미 양국이 올해 대형 선거를 앞두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4월에 국회의원 총선을, 미국은 11월에 대통령 선거를 치른다. 이른바 ‘북풍(北風)’에 민감한 국내 정치 사정상 핵실험은 선거 판도의 주요 변수가 될 가능성이 있다. 남남갈등이나 한·미 공조 균열 등을 노렸을 가능성이 거론된다.
이와 함께 김정은 제1비서가 수소탄 실험에 성공함으로써 김 전 국방위원장 사후 5년 만에 명실상부한 지도자로 홀로서기에 성공했다는 점을 과시하기 위한 측면도 있다는 분석이다. 한·미 양국의 일정과 달리 중국의 역대 공산당 대회나 주석 취임일과 북한의 핵실험 시기는 큰 연관성이 없었다.
이런 가운데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북한이 김 제1비서 생일인 1월 8일을 이틀 앞둔 6일을 수소탄 실험일로 정한 것은 그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한 의미”라고 보도했다. 통신은 “북한이 핵실험 날짜를 정하는 데는 일정한 법칙이 있다”면서 1차 핵실험은 조선노동당 창건 기념일 하루 전에, 3차 핵실험은 2011년 사망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생일을 4일 앞두고 실시됐다고 분석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관련기사 보기]
[北 4차 핵실험] ‘북핵 타이밍’의 정치학… 적절한 시점 노렸나
입력 2016-01-06 2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