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정의 최종 목표인 도민의 행복을 위해 보육대란은 반드시 막아야 합니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5일 국민일보와의 신년 인터뷰에서 “누리과정은 중앙정부의 몫”이라고 강력 반발하는 도의회 다수당인 더불어민주당과 도교육청에 대화와 타협을 촉구했다.
남 지사는 “국민에게 약속했으니 누군가는 해야 하며 어떤 이유로도 아이들을 대란으로 몰아서는 안된다”며 “이재정 교육감이 중앙정부에 굉장히 배신감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보육대란을 방치할 수는 없다. 교육감께서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없는 돈을 지출하라는 것이 아니다. 유치원 예산은 교육청에 있으니 그 예산을 집행하고, 어린이집 예산 부족분은 우리가 부담할 의향이 있다”며 “교육청에 어린이집 예산이 얼마나 있는지 돈 통을 열어 분명하게 셈을 맞춰보고 모자라는 것은 모든 방법을 동원해 우리가 채우겠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이와 관련, 도교육청의 올해 예산안을 분석한 결과 교육청이 어린이집 누리과정 예산의 82%수준인 4500여억원을 편성할 여력이 있다는 내용의 문건을 작성한 사실이 드러났다.
남 지사는 누리과정 갈등으로 ‘경기연정’이 삐걱댄다는 우려에 대해선 “위기는 있지만 대화와 타협, 양보를 통해 넘어서야 한다. 비온 뒤에 땅이 굳듯이 더 탄탄한 연정이 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남 지사는 올해 더욱 열심히 뛰겠다면서 ‘경기도 맏아들론’을 꺼내들었다.
그는 “집안이 잘되려면 맏아들이 잘해야 한다. 경기도가 인구, 일자리, 안전, 스포츠 등 많은 부분에서 그동안 독보적이었고 서울에 뒤지던 경제 규모에서도 넘어섰다. 그야말로 명실상부한 집안의 맏아들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맏아들이 잘해서 집안을 다시 일으켜 세워야 한다. 경기도가 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하고 책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남 지사는 올해 최대 화두로 ‘경제’를 꼽으며 “시대의 요청인 양극화와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고, 새로운 기술혁명 시대에 맞는 ‘공유적 시장경제 체제’를 경기도에 실현하겠다”고 했다.
그는 “4차 기술혁명으로 모든 것들이 모바일로 들어오고, 새로 열리는 인공지능(AI) 시대에 맞는 새로운 모델이 필요하다”며 “대기업은 큰 틀에서 잘 감시하고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경기도의 정보, 지식, 자원을 공유하는 ‘오픈 플랫폼’ 형식의 새로운 체제를 구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청년이 새로운 도전과 성공을 할 수 있는 혁신적인 생태계를 만들겠다는 취지다.
남 지사는 앞으로 복지는 ‘타깃형’으로 가야 한다고 했다. “무상급식, 무상보육은 이미 국민에 의해 선택된 제도로 반드시 시행을 해야 한다. 하지만 앞으로 복지를 늘려나가는 건 신중해야 한다. 복지를 무분별하게 늘려 나갈 수는 없으니 지금까지의 토대 위에서 선별적으로 가야 한다”는 것이다.
남 지사는 올해도 미국, 독일, 일본, 중국 등 해외를 돌며 투자 유치와 통일을 위한 지방외교를 활발히 펼치겠다고 했다. 그는 “투자유치와 통일외교를 올해도 계속하며 한국의 통일외교 역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미국, 일본, 중국 등과 지속적으로 접촉을 갖겠다”며 “특히 중국의 차세대 지도자, 지방정부와는 미래 한국의 통일과 경기도 경제를 위해 교류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신년 초대석-남경필 경기도지사] “누리과정 예산 유치원은 교육청이 어린이집 부족분은 道가 부담하자”
입력 2016-01-06 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