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6일 오후 1시30분부터 40분간 일명 ‘지하벙커’로 불리는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상황실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의 수소탄 실험 주장과 관련한 제반 사항을 보고받고 북한의 추가 도발에 대한 단호한 응징을 강조했다. 박 대통령과 김관진 국가안보실장 등 참석자들은 향후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협의 속에 추가적인 대북 제재가 불가피하다는 방향으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은 오전 김 실장으로부터 북한 핵실험 관련 소식을 즉각 보고받고 회의 소집을 지시했다.
박 대통령은 NSC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비롯한 국제사회의 강력한 제재는 물론 양자 제재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우리와 국제사회는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한다면 결코 묵과하지 않을 것이고, 반드시 대가를 치르게 할 것임을 누차 경고해 왔다”며 단호한 대북 대응을 주문했다. 또 “국제사회의 단호한 대응이 이뤄질 수 있도록 주요국들과 양자 및 유엔 안보리 차원에서의 외교적 노력을 다해 달라”고 했다.
박 대통령은 이와 함께 “이럴 때일수록 나라가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 정치권에선 모든 정쟁을 멈추고 국민 안위를 위해 다같이 힘을 모아 달라”고 했다. NSC에는 황교안 국무총리와 윤병세 외교부 장관, 한민구 국방부 장관, 홍용표 통일부 장관, 이병호 국가정보원장, 김 실장, 이병기 비서실장 등이 참석했다.
박 대통령은 오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경제계 신년인사회에서도 “이럴 때일수록 경제인 여러분은 정부를 믿고 정상적인 경제활동을 하면서 시장 안정에 힘을 보태주기 바란다”고 했다. 박 대통령은 저녁에 예정됐던 문화예술인 신년인사회 및 신년음악회 일정은 취소했다.
앞서 청와대는 북한의 핵시설 인근에서 인공지진 발생 정보를 입수한 직후 긴박하게 움직였다. 김 실장은 낮 12시쯤 NSC 상임위원회를 소집해 북한 핵실험 대응책을 논의했다. 이어 조태용 국가안보실 1차장은 북한을 강력 규탄하는 정부 성명을 발표했다. 조 차장은 성명에서 “국제사회는 북한의 핵 보유를 결코 용인하지 않을 것”이라며 “정부는 모든 핵무기와 핵 및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불가역적인 방법으로 폐기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고 했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애슈턴 카터 미국 국방부 장관과 통화해 빈틈없는 공조체제를 협의했다. 한·미 및 한·일 6자회담 수석대표 간 통화에서도 양국 공조가 논의됐다.
남혁상 기자
[관련기사 보기]
[北 4차 핵실험] 朴 대통령 “모든 정쟁 멈추고 힘 모아야”… 국가안전보장회의 주재
입력 2016-01-07 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