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올해 전용면적 85㎡ 이하 다가구·다세대주택을 매입해 저소득층에 임대하는 ‘매입형 임대주택’을 1500가구 공급한다고 6일 밝혔다.
올해는 저소득 맞벌이부부, 노인층, 청년, 1인가구 등의 거주문제를 해소하는데 역점을 두고 공동체 주택을 확대한 게 특징이다. 조립식 형태의 ‘모듈러주택’ 30가구도 처음으로 시범 공급한다.
매입형 임대주택은 보증금 평균 1500만원, 임대료 월 평균 15만원 정도로 최장 20년까지 거주할 수 있다. 입주희망자는 동 주민센터를 통해 연중 수시로 모집한다.
시는 올해 공급물량 가운데 450가구를 저소득 맞벌이부부, 노인층, 청년 등의 주거문제 해소를 위한 맞춤형 주택으로 공급한다. 맞춤형주택은 가구별 주거공간과 공동생활공간이 공존하는 ‘공동체주택’ 형태다.
아울러 200가구는 쪽방, 고시원 등 비주택시설에 3개월 이상 장기 거주하는 도시근로자 평균소득 50% 이하 취약계층 ‘1인가구’에 배정된다. 이 중 100가구는 올해 처음으로 커뮤니티공간과 복지지원시설이 포함된 ‘지원주택’으로 공급할 계획이다. 또 150가구는 대학생 주거문제 해결을 위한 ‘희망하우징’ 형태로 공급된다. 그동안 부모세대가 무주택자인 경우에만 지원할 수 있었던 ‘희망 하우징’ 입주자격을 올해부터는 부모의 소득이 도시근로자가구당 월 평균 소득의 50∼70%이하인 유주택자로 확대했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11일부터 매도를 희망하는 다가구·다세대 주택 소유주를 대상으로 신청 접수를 받는다. 대상 주택은 기존주택과 토지확보 후 착공 전 상태인 ‘건축예정주택’ 2가지다.
김재중 기자
매입형 임대주택 올해 1500가구 공급… 서울시, 최장 20년까지 거주
입력 2016-01-06 2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