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6일 북한의 4차 핵실험에 대해 “정부는 국제사회와 긴밀한 협력 하에 반드시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도록 할 것”이라고 강력 경고했다.
박 대통령은 오후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상황실에서 주재한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 “우리는 이런 상황을 엄중히 인식하고, 강력한 국제적 대북제재 조치를 통해 단호히 대처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북한 4차 핵실험은) 우리 안보에 대한 중대한 도발일 뿐만 아니라 민족의 생존과 미래를 위협하는 일이고, 세계 평화와 안정에 대한 정면도전”이라고 비판했다.
박 대통령은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나 북한이 이번 핵실험을 첫 시험용 수소탄 실험이라고 주장하는 만큼 동북아의 안보 지형을 뒤흔들고 북핵 문제의 성격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에 대해서도 예의주시하면서 만에 하나 도발이 있으면 단호하게 응징할 것”이라고 했다. 우리 군에 한·미 연합 방위태세 강화 등 빈틈없는 군사 대비태세를 유지할 것도 지시했다.
조태용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도 정부 성명을 통해 이번 핵실험을 강력 규탄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차원의 추가 제재 조치를 포함해 모든 필요한 (대북) 조치를 취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군은 정오를 기해 전군 경계태세를 격상했다. 이순진 합참의장은 오후 커티스 스캐퍼로티 한미연합사령관과 통화해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도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 스캐퍼로티 사령관과 연쇄 면담하고 한·미 간 철저한 대북 공조를 약속했다.
국제사회도 긴박하게 움직였다. 유엔 안보리는 이날 오전 11시(현지시간) 긴급회의를 개최해 고강도 대북 제재 방안을 논의했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성명에서 “중국은 당연히 해야 할 국제사회의 의무를 다할 것”이라며 대북 제재 동참 방침을 드러냈다. 미 국무부 존 커비 대변인도 성명을 내고 “핵실험은 안보리 결의 위반으로 강력 규탄한다”고 했다.
남혁상 기자,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관련기사 보기]
朴 대통령 “北 핵실험 대가 반드시 치르게 할 것”
입력 2016-01-07 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