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4차 핵실험으로 해빙 무드가 감지되던 북·중 관계가 결정타를 맞게 됐다. 북한이 6일 핵실험에 성공했다고 밝힌 이후 중국군이 북한과의 접경지대에 병력 3000명을 증원한 것으로 전해졌다.
홍콩 인권단체 중국인권민주화운동정보센터는 중국군 병력 증원이 돌발사건 발생을 방지하려는 것이지만 중국 국경관측소에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되지는 않았다고 전했다.
중국은 모란봉악단의 베이징 공연 취소라는 악재가 있기는 했지만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해 왔다. 한 베이징 외교 소식통은 이날 “류윈산 정치국 상무위원의 방북 이후 중국은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통해 한반도를 안정적인 관리 하에 두고 싶어 했다”면서 “북한의 핵실험으로 냉각기가 상당 기간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는 모란봉악단이 베이징에서 철수한 지 사흘 만이자 ‘수소탄 발언’이 보도된 지 5일 만인 지난해 12월 15일 4차 핵실험 실시를 명령한 것으로 드러났다.
중국 입장에서는 이번 4차 핵실험이 2013년 3차 핵실험보다 더 뒤통수를 맞은 셈이다. 3차 핵실험의 경우 중국은 어느 정도 예상하고 북한의 핵실험을 막기 위해 다양한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다. 당시는 시진핑 국가주석 체제가 들어서기 전 권력교체기여서 상당히 민감한 시기였다. 하지만 북한 핵실험으로 당시 중국은 체면을 완전히 구겼었다.
이번 4차 핵실험은 예상치 못하게 허를 찔린 셈이어서 당장 북·중 관계 개선 움직임은 물 건너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화춘잉 외교부 대변인이 직접 “핵실험 사실을 알지 못했다”고 밝히면서 당혹감과 분노를 표현했다. 중국이 북한의 핵실험 계획을 통보받지 못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은 조만간 지재룡 주중 북한대사를 외교부로 불러들여 ‘엄중한 입장’을 전달하기로 했다.
일각에서 대북 원조 축소나 독자 제재 주장이 나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일반 국민들 사이에서 북한, 특히 김 제1비서에 대한 반감이 강하다. 화춘잉 대변인은 유엔 차원의 추가 제재에 동조할 것임을 시사했다. 하지만 북한에 대한 강력한 독자 제재까지 나가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다른 베이징 외교 소식통은 “기존 유엔 재재 결의를 엄격히 적용만 해도 북한에 엄청난 압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영 신화통신은 논평에서 “북한의 ‘수소탄’ 실험은 한반도 비핵화 목표와 정반대로 가는 것”이라고 비판했지만 “각국이 대결적 의식을 버리고 하루빨리 대화를 통한 해결이라는 궤도에 올라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관련기사 보기]
[北 4차 핵실험] 北·中관계 다시 급랭… 中, 접경지역에 병력 3000명 증파
입력 2016-01-06 2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