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핵실험에도 금융시장은 동요하지 않았다. 무덤덤했다. 정부는 핵실험이 주식, 외환 시장에 미칠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6일 코스피지수는 1925.43으로 전날보다 소폭 하락하는 데 그쳤다. 오전 중 북한에서 지진이 감지되면서 핵실험 의혹이 제기되자 1910선까지 떨어지기도 했으나 북한 조선중앙TV가 수소탄 핵실험을 실시했다고 보도한 이후 오히려 하락폭이 줄었다. 코스닥은 소폭 오르면서 장을 마쳤다. 전문가들은 북핵 문제가 더 이상 금융시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아니라고 진단하고 있다. 삼성증권 김용구 수석연구원은 “1993년부터 2011년 김정일 사망 당시까지 보면 북한 리스크가 한국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대체로 미미했다”며 “초기에 나타난 영향도 보통 3일 내에 사라지고 정상화 궤도에 진입했다”고 진단했다.
외환시장이 좀 더 민감했다. 위안화 절하 조치까지 겹치면서 1200원에 다가섰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197.9원으로 전날보다 9.9원 치솟았다. 중국 인민은행이 이날 오전 달러 대비 위안화 기준환율을 전날보다 0.22% 절하한 6.5169위안으로 고시했다. 북핵이 기름을 부으면서 10시 45분쯤 1193원이었던 환율은 더욱 뛰어올랐다.
정부는 북한 핵실험 관련 긴급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이번 핵실험도 그간 학습효과에 비춰볼 때 주식 및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당장 한국의 국가 신용등급 조정을 가져올 정도의 영향을 주진 않겠지만 북한 수소탄 실험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가 장기간 지속되면 국가신인도에 부담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06년 10월 북한의 1차 핵실험과 2009년 5월 2차 핵실험 이후 우리나라의 신용등급은 그대로 유지됐다. 국제신용평가사들이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험을 우리 경제에서 변수가 아닌 ‘상수'로 여기고 이미 반영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북한발 리스크가 국가신용등급에 악영향을 준 것은 2003년 2월 한 차례 있었다. 당시 무디스는 북한의 핵무기 개발 우려를 이유로 우리나라의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2계단 내렸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
[관련기사 보기]
[北 4차 핵실험] ‘북핵’ 악재에도 증시 차분… 환율, 위안화 절하 겹쳐 9.9원↑
입력 2016-01-06 2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