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취임한 카드가 프라사드 샤르마 올리 네팔 총리의 첫 해외 방문국은 중국일까 인도일까?
역대 네팔 총리들의 첫 해외 방문지는 무조건 인도였다. 하지만 중국과 인도에 모두 초청받은 올리 총리는 고민하고 있다. 카말 타파 부총리 겸 외무장관은 지난해 10월 베이징 방문을 마친 뒤 올리 총리가 2016년 초 중국을 방문한다고 발표했다. 첫 방문지가 처음 중국으로 바뀔 것이라는 추측이 나돌았다. 하지만 나렌드라 모디 총리는 지난달 31일 전화 회담에서 올리 총리를 초청했고, 네팔 당국은 “아직 정하지 못했다”고 밝히고 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6일 전했다.
네팔이 고민하는 이유는 연방제 헌법 제정을 둘러싸고 인도와 틈이 벌어진 사이 중국이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네팔은 지난해 9월 9개주 창설을 내용으로 하는 연방제 헌법을 제정했다. 헌법 내용과 관련해 토착 종족들의 불만이 커지면서 폭력 시위가 계속됐고, 네팔과 인도 사이의 남쪽 국경이 봉쇄돼 네팔은 극심한 경제난을 겪고 있다. 네팔에서는 국경 봉쇄 배후에 인도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네팔은 전체 무역의 70% 이상을 인도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은 네팔의 긴급 구조 요청에 즉각 응답했다. 중국으로서는 민감한 티베트와 접해 있는 네팔 북쪽 국경을 터줬고, 연료 공급에도 나섰다. 지난해 10월 중국석유공사(CNUOC)와 네팔석유공사(NOC)는 석유 공급에 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네팔은 중국으로부터 국제시세에 따라 휘발유와 경유, 주방용 가스 등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됐고 CNUOC는 당장 석유 부족에 시달리는 네팔에 석유 1000t을 무상지원하기로 했다. 네팔의 저명 언론인 카나크 마니 디시트는 SCMP에 “인도와의 국경 봉쇄가 풀리지 않는 한 올리 총리가 인도를 방문하는 것은 정치적으로 가능성이 없다”면서 “국경 봉쇄로 인한 네팔의 경제난이 인도 의존도를 줄이고 중국과 한층 가까워지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中·印 동시초청 받은 네팔 총리, 어디부터 갈까
입력 2016-01-06 2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