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화 국회의장은 4일 여야 대표를 만나 선거구 획정 중재를 시도했다. 이번엔 국회의장실이 아닌 서울 여의도 한 식당이었다. 오찬을 겸한 회동에서 정 의장은 지역구 ‘246석’과 ‘253석’의 두 가지 안(案)을 제시한 뒤 양당의 결단을 종용했다. 선거구 공백이라는 사상 초유의 사태를 풀 길은 여야 합의뿐이라고 절박하게 호소한 것이다.
정 의장은 3자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오는 8일 선거구 획정안을 담은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처리하려면 5일 정도까지는 기준이 합의돼야 6∼7일엔 뭐가 되지 않겠느냐고 양당 대표에게 말했다”고 밝혔다. 정 의장은 또 “개인적으로는 253석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지만 의장이 그것을 주장하는 것은 맞지 않는다”며 “246석과 253석 안을 이야기했는데 결과를 지켜보자”고 했다.
회동에 앞서 정 의장은 김대년 선거구획정위원장에게서 획정위 내부 논의상황을 보고받았다. 정 의장이 새해 첫날 0시를 기해 획정위에 전달했던 현행 246석안은 획정위가 합의 불가를 선언함에 따라 사실상 무산돼 253석을 양당이 수용하느냐가 관건으로 남게 됐다. 결과적으로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의 선택지는 253석 하나로 좁혀진 셈이다. 정 의장의 선거구 획정안 직권상정 압박이 어느 정도 성과를 냈다는 해석이 나온다. 정 의장은 “여야가 한발씩이라도 양보하지 않으면 합의가 안 된다”고 했다.
문제는 야당이 지역구 의석수를 253석으로 늘리는 전제조건으로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과 투표연령 만 18세로 하향 조정 등을 조건으로 내걸어 왔다는 점이다.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새누리당의 불가 방침이 확고하다. 과반 의석이 무너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단 투표연령 조정은 조율 가능성이 아예 없지 않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일자리 창출과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입법을 야당이 해준다면 당내 설득을 해보겠지만 야당은 내년 총선부터 적용하자고 하고 있어 이런 얘기가 지루하게 반복되고 있다”고 했다.
이에 따라 선거구 획정이 임시국회 마지막 날인 8일을 넘길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 경우 정 의장의 역할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커질 수 있다.
한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지금 여야는 출구 없는 미로 속을 계속 헤매고 있다”며 “의장이 여야에만 결단을 요구할 것이 아니라 직접 나서서 꼬일 대로 꼬인 매듭을 풀고 그에 따른 정치적 책임을 지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정의화 “지역구 246석 아니면 253석 중 선택하라” 여야 압박
입력 2016-01-04 2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