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청와대 신년회 초청에도 불응한 제1야당의 편협함

입력 2016-01-04 17:46
박근혜 대통령은 4일 오후 5부요인과 차관급 이상 고위 공직자, 정당 대표, 경제5단체장 등 200여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신년인사회를 가졌다. 매년 새해 벽두에 열리는 신년인사회는 대통령이 지난 1년간의 노고 치하와 함께 ‘더 나은 대한민국’을 만들어 달라고 당부하는 자리다. 한 자리에서 만나기 힘든 지도자들이 악수하며 덕담을 나누는 친목 행사이기도 하다.

그런데 올해엔 이 자리에 제1야당 지도부가 불참했다. 문재인 대표와 이종걸 원내대표,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 상임위원장 전원이 초청에 불응했다. 뜻밖의 일이다. 야당 지도부의 신년인사회 불참은 박근혜정부에서 처음 있는 일이다. 2014년에는 김한길 민주당 대표, 2015년에는 문희상 새정치민주연합 비상대책위원장이 참석했었다. 이번 야당의 불참은 지도자들이 똘똘 뭉쳐 나라를 제대로 이끌어 달라는 국민 바람을 저버린 행동이다. 더민주는 불참 이유로 “위안부 문제 협상 결과나 국회 경색 등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야당 대표가 의례적인 행사에 가는 게 적절치 않다는 판단을 했다”고 밝혔지만 편협하다 하지 않을 수 없다.

국회의 한 축을 이루는 제1야당의 지도부라면 대통령과 대면하는 게 다소 껄끄럽더라도 새해를 맞아 국민에게 희망을 심어준다는 의미에서 밝은 표정으로 인사를 나누는 게 책임 있는 자세다. 박 대통령이 철천지원수는 아니지 않은가. 더민주가 아직도 대선 불복의 태도를 보인다는 비판을 받는 이유다. 사사건건 정부를 비판하고 국회 발목을 잡는 지금까지의 배타적 행보와도 무관치 않다. 안철수·김한길 두 전 대표가 탈당하며 “문 대표와 친노 세력이 오만과 독선, 증오의 정치를 한다”고 비판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더민주가 ‘안철수 신당’ 바람에 휩쓸리지 않고 오는 4월 20대 총선에서 살아남으려면 대화의 정치, 타협의 정치를 복원해야 한다. 극한의 대여 투쟁을 무기로 삼았던 군사정권 시절 야당도 국리민복 앞에서는 양보하는 걸 당연시해 끊임없이 국민 지지를 받았다. 더민주는 지난주 당명에서 ‘새정치’를 빼고 대신 ‘더불어’를 내걸었다. 국민과 함께 나아간다는 뜻으로 이해된다. 국민과 함께 가겠다면 국민이 뽑은 대통령, 국민 절반이 지지하는 집권 새누리당도 인정하고 그들과 대화하고 타협해야 함은 당연하다.

신년인사회에 불참한 것은 더불어민주당이 아니라 ‘나홀로민주당’ ‘외톨이민주당’임을 자처한 것이나 진배없다. 계속해서 이런 속 좁은 행태를 보일 경우 총선에서 전통적 야당 지지자들로부터도 외면당할 가능성이 높다. 국민이 더민주에 바라는 제1의 혁신 과제는 통합의 정치, 상생의 정치를 도모하는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