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대통령, 새해 ‘경제·개혁’ 체감 성과에 올인

입력 2016-01-03 21:21 수정 2016-01-04 00:25

박근혜 대통령이 집권 4년차를 맞은 새해에도 경제 활성화와 구조개혁 완수를 위한 강력한 드라이브를 건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역시 내수 회복, 민간 투자 확대 등을 통한 경제활력 높이기를 최우선 국정과제로 삼겠다는 의미다. 아울러 공공·노동·금융·교육 4대 부문 구조개혁 완수에도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3일 “박 대통령의 새해 국정 구상은 경제활력 강화, 구조개혁 완수에 초점이 모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우선 경기활력 제고 방안과 관련해 재정 조기 집행, 공공기관 및 민간 투자 확대, 신시장 개척 등을 통해 국민들의 실물경기 활성화 체감도를 높일 방침이다.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경제 활력’은 박 대통령이 지난해 말부터 부쩍 자주 쓰는 표현이다. 특히 2014년 시작한 경제혁신 3개년 계획 마무리와 함께 박근혜정부의 24개 핵심 개혁과제 이행 및 완수에도 모든 역량을 쏟아 부을 것으로 보인다. 안종범 청와대 경제수석은 월례브리핑에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이 올해 마무리되기 때문에 개혁 성과를 구체화하고 국민 체감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여러 조치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앞으로 일자리 창출과 고용률 제고에 경제정책의 최대 중점을 두겠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올해 경제성장률 3%대 회복, 역대 최고 고용률 달성 등을 목표로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이런 신년 구상을 4일 청와대에서 열리는 신년 인사회에서 밝힐 것으로 예상된다. 박 대통령은 경제 살리기와 미래세대를 위한 일자리 창출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설파할 예정이다. 특히 정의화 국회의장도 참석하는 만큼 직접 노동개혁·경제활성화 법안의 조속한 처리를 당부할지 주목된다.

다만 새해에도 대내외 경제 여건이 그리 밝지만은 않다는 게 부담이다. 특히 미국의 금리 인상과 신흥시장 부진 등으로 불확실성이 계속되는 만큼 박 대통령이 강조하는 경제 활성화가 순탄하게 이뤄질 것이라고 장담하긴 어렵다.

한편 박 대통령은 남북관계 및 대외 기조에서도 커다란 변화 없이 기존 기조를 그대로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인도적 교류, 문화 협력을 확대하는 이른바 ‘작은 통로론’을 통해 점진적인 남북관계 진전 및 확대를 모색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최근 타결된 한·일 간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합의에 대한 입장을 다시 한번 밝힐지도 관심이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