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공천제도특별위원회가 3일 전체회의를 열고 총선 공천 룰 최종 합의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경선 후보자들의 가·감점 부여 조건 등 핵심 쟁점을 놓고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비박근혜)계가 이견차를 좁히지 못했다.
공천제도특위는 그동안 정치 신인의 여론조사 득표율에 10% 가산점 부여, 여론조사 결과가 오차범위일 때 결선투표 도입 등에 대해 합의를 이뤄냈다. 그러나 결선투표에 오른 신인에게까지 가점을 주느냐를 두고 계파 간 입장차가 첨예하게 갈렸다.
친박 김태흠 의원은 “결선투표의 취지는 상향식 공천과정에서 현역이 유리한 만큼 신인들의 어려움을 보완하겠다는 것”이라며 “결선까지 가점을 부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비박계는 “1, 2위 후보가 접전을 벌이는 결선투표까지 가점이 적용되면 경쟁력 없는 후보가 공천받을 수 있다”며 반대했다. 경선 여론조사에서 현행 국민과 당원 비율(5:5) 조정 문제, 당원 대상 여론조사 도입 문제 등을 놓고도 양 계파는 접점을 찾지 못했다.
전직 장·차관과 청와대 참모를 신인으로 분류하느냐는 문제 역시 변수로 남아있다. 비박계는 “정치 신인 상당수가 정권의 혜택을 입어 얼굴과 이름을 알린 만큼 가점을 주는 건 지나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친박계는 “정치에 있어서는 문외한인 만큼 ‘도움닫기’를 위한 발판이 필요하다”며 이른바 ‘인큐베이터론’을 주장하고 있다.
비박계의 ‘전략공천 반대’와 친박계의 ‘현역 기득권 타파’라는 명분이 부딪히는 양상이어서 공전이 지속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황진하 사무총장은 “오는 6일 최종 합의를 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자는 결론을 맺고 회의를 끝냈다”고 말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與 공천특위, 최종 합의 또 불발… 6일 재논의키로
입력 2016-01-03 21:23 수정 2016-01-04 0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