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31일 ‘12·28 한·일 위안부 문제 합의’와 관련해 “소녀상 철거를 전제로 돈을 받았다는 등 사실과 전혀 다른 보도와 사회혼란을 야기하는 유언비어는 위안부 문제에 또 다른 상처를 남게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김성우 청와대 홍보수석은 춘추관에서 발표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합의와 관련해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위안부 협상 타결 이후 국내외에서 불거진 각종 논란에 대한 청와대 입장을 밝혔다. 김 수석은 “지금부터 중요한 것은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재단을 조속히 설립해 피해자 할머니들의 명예와 존엄을 회복하고 삶의 터전을 일궈드리는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러나 사실과 다른 유언비어들이 난무하고 있다”며 소녀상 철거를 전제로 한 일본 정부의 10억엔 출연설 등을 거론했다. 이어 “이번 합의에 대한 민간단체의 여러 비판도 듣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총성 없는 전쟁터와 같은 외교현장에서 우리 국익을 지키기 위해 벼랑 끝에 선 심정으로 임해왔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렇게 정부가 최선을 다한 결과에 대해 ‘무효’와 ‘수용 불가’만 주장한다면 앞으로 어떤 정부도 이런 까다로운 문제에서 손을 놓게 될 것”이라며 “민간단체나 일부 반대하는 분들이 주장하는 대로 합의를 이끌어 내는 것은 쉽지 않다”고 했다.
그는 또 “실제로 그동안 민간 차원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위안부 문제는 한 발짝도 나가지 못했다”며 “그런데도 마치 정부가 잘못 협상한 것처럼 여론을 조성해 나가는 건 얼마 남지 않은 피해자 할머니들의 생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제 정부의 이런 합의를 수용하지 못하시고 어렵게 풀린 위안부 문제를 다시 원점으로 돌리고자 한다면 이 문제는 24년 전 원점으로 되돌아가게 된다”고도 했다. 김 수석은 “정부로서도 할머니들 살아생전에 더 이상 어떻게 해 볼 여지가 없게 될 것이란 점을 헤아려주시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청와대의 대국민 메시지는 협상 타결 직후 박 대통령 명의의 메시지 이후 사흘 만에 나왔다. 청와대가 다시 전면에 나선 것은 한·일 합의 이후 야당과 일부 민간단체를 통해 제기되는 졸속협상 및 이면합의 등의 비판을 차단하겠다는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 설득 작업을 하면서도 사실 왜곡에는 단호하게 대응하겠다는 의미다. 최근 좋지 않은 여론 흐름을 방치할 경우 박근혜 대통령의 새해 국정운영에도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판단도 작용한 듯하다. 이번 입장 발표는 박 대통령이 직접 지시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대정부 공세를 강화하고 있는 야당도 우회적으로 겨냥했다. 김 수석은 “역대 정부들이 위안부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다. 어떤 때는 위안부에 대한 배상책임을 묻지 않겠다고 했다”고도 했다. 명시적으로 표현은 하지 않았지만, 김대중·노무현 정부 당시 대일기조를 비판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연일 보도하는 일본 언론에 대한 경고 메시지도 담았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위안부 합의’ 이후] 靑 “수용 못하면 과거 회귀… 유언비어는 또다른 상처”
입력 2015-12-31 2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