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과 정부, 청와대가 31일 오전 노동개혁 관련 비공개 서별관 회의를 열고 연초 노동개혁 5개 법안에 대한 직권상정 추진이 불가피하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30일 일반해고(통상해고) 가이드북 초안 발표를 강행한 데 이어 연초에도 강공 모드 방침을 정했다는 점에서 노동계와 야당의 강한 반발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당정청은 이날 회의에서 특단의 대책이 없는 한 오는 8일 임시국회 회기 내 근로기준법 등 노동개혁 관련 5개 법안 개정을 완료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이어 참석자들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관련 법안 심사는 이어가되 이를 명분 삼아 막판 직권상정 추진이 불가피하다는 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전해졌다. 정의화 국회의장이 직권상정이 어렵다는 뜻을 밝힌 상황에서 당정청이 또다시 직권상정 추진을 논의했다는 점에서 논란이 예상된다.
당정청은 또 야당이 최근 발의한 ‘청년노동 3법’에 대해선 야당 측에 노동개혁 법안별 최종 절충안을 제시한 뒤 신정 연휴에 수용 거부 의사를 밝힐 계획이다. 그러나 당정청이 마련한 최종 절충안은 이미 지난달 노사정위원회가 국회에 전달한 공익위원 중재안에 포함된 내용이어서 야당이 받아들일 가능성은 희박하다.
이와 함께 당정청은 기획재정부,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련 부처가 오는 4일 공동으로 노동 5법 입법을 촉구하는 담화문 발표를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일반해고(통상해고) 가이드북 초안은 오는 8일 임시국회 회의가 끝난 뒤 15일께 최종 확정짓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는 이인제 새누리당 노동시장선진화 특별위원회위원장,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 현정택 정책조정수석 등 당정청 핵심인사 10여명이 참석했다. 서별관 회의는 노동개혁 추진 초기부터 정부의 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사령탑 역할을 해왔다. 한 회의 참석자는 “회의에 참석한 것은 맞지만 비공개 회의이기 때문에 논의 내용은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
세종=윤성민 기자 woody@kmib.co.kr
당정청, 연초 노동5법 직권상정 추진
입력 2015-12-31 2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