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합의 후폭풍이 연일 거세지면서 박근혜(얼굴) 대통령이 향후 직접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찾아 이해를 구할지 관심이 집중된다. 현재는 협상 타결에도 불구하고 정작 피해 당사자인 위안부 할머니들의 상처를 진심으로 어루만지는 조치가 없다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이다. 따라서 국정 최고 책임자인 대통령이 위안부 할머니들을 직접 만나 협상 결과에 대한 이해를 구하는 상징적인 모습이 필요하다는 시각도 있다. 박 대통령이 그동안 ‘피해자들이 수용할 수 있고, 국민이 납득할 만한 수준이어야 한다’는 점을 해결 원칙으로 강조했던 만큼 이제는 행동으로 보여줘야 한다는 것이다.
청와대는 여론 향배에 촉각을 곤두세우면서도 신중한 분위기다. 현재로선 정부 인사들이 위안부 할머니들을 찾아 협상결과를 설명하는 수순이 먼저라는 기류다. 정부는 외교부 1·2차관에 이어 황교안 국무총리, 윤병세 외교부 장관 등이 위안부 할머니들을 찾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30일 박 대통령이 위안부 할머니를 만날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아직 정해진 바 없다”고 말했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피해자 할머니들에 대해 협상 결과를 진정성 있게 설명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박 대통령이 위안부 할머니들을 직접 찾는 형식은 범정부 차원의 설득작업 이후에야 가능한 ‘마지막 수단’이라는 게 청와대 판단으로 보인다. 물론 여론 추이에 따라 박 대통령의 전격 방문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다. 이밖에 박 대통령이 공식회의나 신년 메시지 등을 통해 위안부 할머니들의 명예 및 존엄 회복, 상처 치유에 적극 나서겠다는 의지를 재차 표명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일각에선 박 대통령이 취임 초부터 위안부 문제를 한·일 관계 정상화의 전제조건으로 삼아 강도 높은 대일 비판을 이어간 게 오히려 우리 국민들에게 협상 결과에 대한 기대치를 지나치게 높여준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 박 대통령은 취임 첫해인 2013년 3·1절 기념사에서 “가해자와 피해자라는 역사적 입장은 천년의 역사가 흘러도 변할 수 없다”고 했다. 또 그해 9월 30일 척 헤이글 미국 국방장관을 만나서도 “위안부 할머니 문제는 지금도 진행되는 역사인데 일본이 사과는커녕 계속 모욕하고 있다”는 등 강도 높게 일본을 비판해 왔다. 그런 상황에서 ‘연내 해결’을 목표로 합의해버린 것은 국내 여론의 역풍을 불러올 수 있다는 평가다. 또 불가역적인 합의, 비판을 자제하기로 합의 역시 향후 일본 우익 정치인들의 망언이 이어지고 우리 정부가 이를 다시 비판할 경우 일본에 ‘합의 파기’ 주장의 빌미를 주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한편 경기도 광주 나눔의 집은 황 총리가 나눔의 집을 방문하려다가 일정을 취소했다고 밝혔다. 안신권 나눔의 집 소장은 “어제(29일) 여성가족부 과장이 찾아와 ‘30일 총리 방문 일정이 있다’고 했다가 일정이 취소됐다는 말을 들었다”고 말했다. 총리실 측은 “실무선에서 알아본 적은 있지만, 총리실 차원에서 나눔의 집 방문을 결정한 적은 없다”고 밝혔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위안부 합의’ 이후] 朴대통령, 할머니들 직접 찾아 위로하고 껴안을까
입력 2015-12-30 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