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이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직접 사과를 요구하면서 성사 가능성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일본 언론들은 지난 25일 아베 총리가 피해자에게 직접 사죄 편지를 보내는 방안을 제안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하지만 28일 한·일 외교장관회담 기자회견에서는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외무상이 아베 총리의 공식 사과를 대독하는 대신 사죄 편지 내용은 빠졌다.
이를 두고 정부와 피해자 간 온도차가 존재한다. 외교적으로 보면 아베 총리 실명(實名)을 사용해 공개석상에서 사죄를 표한 것은 편지보다 격(格)과 형식면에서 훨씬 무게감이 크다. 실제 12차례 열린 위안부 문제를 위한 한·일 국장급 협의에서 아베 총리가 사죄 편지를 보내는 방안도 검토됐다. 하지만 일본 총리 자격으로 공개적·공식적 사과를 요구한 우리 정부 입장이 최종 관철됐다.
반면 피해자 입장에서는 위안부를 ‘인신매매 피해자’로 표현하는 등 퇴행적 언사를 계속했던 아베 총리의 ‘간접 사과’가 만족스럽지 않은 상태다. 따라서 그가 직접 사죄의 편지를 보내는 등 행동에 나서도록 우리 정부가 외교력을 발휘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995년 일본이 설립한 ‘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국민기금’(아시아여성기금) 논의 당시 일본 총리가 ‘위로금’을 받은 피해자에게 사죄 서신을 전달한 적이 있다. 다만 이는 사적인 편지였고, ‘위로금’에 대한 피해자 반발로 사장됐다. 사사에(佐佐江) 안에도 일본 총리의 사죄 편지와 주한 일본대사의 면담·사과 방안이 포함됐었다.
전례에 따라 이번에도 피해자 지원재단이 구체화되면 아베 총리가 사죄 서신을 전할 것이란 관측도 있다. 진창수 세종연구소장은 30일 전화통화에서 “아베 총리의 서신은 국제적 흐름에서 볼 때 당연한 절차”라고 단언했다. 다만 재단 설립 준비 기간을 감안하면 차기 총리가 대신할 가능성도 있다.
우리 정부도 이와 같은 방안을 주목하고 있지만 강제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입장이다. 정부 당국자는 “이번 아베 총리의 사과는 편지보다 훨씬 강력한 수준이다. 다만 서신이나 주한 일본대사의 방문 사죄 등 감성적 접근이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위안부 합의’ 이후] 아베의 ‘사죄 편지’ 가능할까
입력 2015-12-30 2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