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수시 신용위험평가] 대기업 구조조정 명단 19개 기업 추가… 올들어 총 54곳 작년보다 20개↑

입력 2015-12-30 21:57

구조조정이 필요한 부실 대기업 수가 지난해보다 60%가량 증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내년 감원 한파가 우려된다. 정부는 부실이 심각한 조선·해운·석유화학·철강·건설 등 취약업종을 중심으로 구조조정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금융감독원은 30일 대기업 수시 신용위험평가 결과를 발표하고 금융권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 대기업 가운데 19곳이 신용등급 C·D를 받아 구조조정 대상이 됐다고 밝혔다. 상반기 이뤄진 정기평가 결과를 합하면 올해 구조조정 기업은 총 54개로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을 받은 2010년(65개) 이후 가장 많다. 지난해보다 20곳이 늘었다. 업종별로 보면 건설이 14개로 가장 많았고, 이어 철강(11개) 전자(8개) 조선(4개) 등의 순이었다. 이들 기업에 대한 신용공여액은 19조6000억원에 이른다.

정부는 기업구조조정촉진법(기촉법)의 시한이 올해까지인 점을 고려해 워크아웃 대상인 C등급 업체에 대해서는 채권단이 31일 안으로 워크아웃을 신청하도록 할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주채권은행이 채권단에 워크아웃을 위한 협의회 소집만 통보하면 일단 기촉법상의 워크아웃을 계속 추진할 수 있다”며 “기업이 자발적으로 과잉설비를 해소할 경우 세제 지원 등을 제공하는 ‘기업활력제고특별법’ 제정도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날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산업별 구조조정 추진 현황과 계획을 논의했다. 과잉공급·과당경쟁 문제에 직면한 해운업계를 위해 12억 달러(약 1조3200억원) 규모의 선박펀드를 조성, 부채비율을 400% 이하로 낮추는 업체부터 신규 선박 발주를 지원키로 했다. 또 조선업계의 경우 업체별로 경쟁력 있는 부문에 특화하도록 독려하고 정상화가 곤란한 기업은 인수·합병(M&A)과 청산 절차를 밟도록 할 방침이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