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우린 다르다”… 野 사분오열 속 민생행보로 차별화

입력 2015-12-29 21:47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2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청년과 함께하는 노동개혁 연내 입법 호소대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맨 앞줄 왼쪽부터 김용남 원내대변인, 김 대표, 원유철 원내대표,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 연합뉴스

여당이 민심과 쟁점법안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데 팔을 걷어붙였다. 사분오열로 갈라지는 위기에 직면한 야당과 대조적으로 ‘민생을 챙긴다’는 모습을 부각시키겠다는 것이다. 내년 4월 총선을 의식해 ‘발목 잡는 야당’ 프레임을 띄우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새누리당은 29일 국회에서 당정협의를 갖고 저출산 문제 대책을 발표했다. 세 자녀 이상을 둔 가구에 주거보장 인센티브를 주고 신혼부부를 위한 행복주택 건립 지역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이주영 당 저출산대책특위 위원장은 당정협의 후 브리핑에서 “정부가 신혼부부에게 맞춤형 주거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는데 새누리당은 여기에 더해 다산 가정에 대한 인센티브도 강력히 제공돼야 한다고 제시했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이와 별도로 비공개 당정협의를 통해 내년 1월부터 현장 근무가 잦은 경찰과 집배원 등의 공무원에게 지급되는 위험근무수당을 최대 50%까지 인상하는 방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누리과정(3∼5세 무상보육) 예산 문제에 대한 대책 마련에도 힘을 쏟겠다고 했다. 김정훈 정책위의장은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보육대란’ 우려를 제기하면서 “(누리과정 예산 문제를) 내년 총선용 들러리로 삼으려는 정치적 계산으로 학부모를 혼란시키지 말아야 한다”고 했다. 예산 부족으로 누리과정 예산 편성을 거부한 진보 성향의 시·도 교육감들을 정면 겨냥한 것이다.

새누리당은 이 문제와 관련, 당 소속 광역의회 의장단 정책간담회를 열었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이 자리에서 중앙정부와 지방교육청이 참여하는 공개토론을 제안했다. 남 지사는 당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한 데 이어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각각 면담, 두 부총리가 공개토론을 여는 데 합의했다고 전했다.

릴레이 당정협의 등 여당의 빨라진 민생 행보에는 합리적 개혁 노선을 표방한 ‘안철수 신당’ 변수가 작용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중도층의 표심 이탈을 막아야 한다는 당 일각의 우려가 깔려 있다는 것이다. 새누리당 한 중진 의원은 “야권 분열로 내년 총선에서 180석까지 기대할 수 있다는 말도 나오는데 그렇게 낙관할 만한 상황이 아니다”고 했다.

새누리당은 난항을 겪고 있는 정부·여당의 경제활성화 법안과 노동개혁 5법 등 쟁점법안 처리를 위한 압박 수위도 높여갔다. 집권 후반기 선거에서 제기되는 ‘정부·여당 심판론’을 ‘야당 심판론’으로 희석시키려는 것이다.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당명을 더불어민주당으로 바꾼 야당을 향해 “국민과 더불어 간다는 건 국민이 원하는 법안을 발목 잡지 않고 제때 처리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 이목희 정책위의장은 “새누리당이 법안을 처리할 생각이 있는지, 아니면 책임을 우리 당에 전가하면 된다고 생각하는지 정말로 이해할 수 없다”며 “청와대 눈치만 볼 게 아니라 전향적 자세로 나올 것을 촉구한다”고 맞받아쳤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