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당 작업을 진행 중인 무소속 안철수 의원이 더불어민주당과의 차별화라는 현실적 과제에 직면했다. 더민주당과의 정책적 차별성, 탈당파의 수용 범위, 내년 총선 선거연대 방향 등을 제대로 정리하지 못할 경우 ‘도로 새정치연합’이라는 지적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더민주당 현역 의원들의 탈당은 소강 상태지만, ‘안철수 신당’을 지지하며 더민주당을 떠나는 인사들의 기자회견은 29일에도 이어졌다. 그러나 안 의원은 아직 이들과의 합류 여부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안 의원은 MBC라디오 인터뷰에서 “서로 합의가 됐을 때 발표하게 될 것”이라고 유보적 입장을 피력했다. 그러나 제1야당 출신 인사들의 합류 폭이 커질수록 더민주당과의 차별성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를 의식한 듯 안 의원은 혁신적이고 투명한 공천 원칙을 거듭 강조하며 ‘탈당=신당 공천’이란 우려를 불식시키려 애를 쓰는 모습이다.
정책 차별화도 시급하다. 지난 20일 안 의원이 신당 기조를 발표한 이후 정치권에서는 ‘재벌개혁’과 ‘복지강화’ ‘증세 불가피’ 등의 구상이 더민주당 정책방향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지적이 나왔다. 안 의원은 오찬 간담회에서 “산업화에 대한 인정, (경제)성장의 필요성, 선별적 복지를 포함시켰다”는 취지로 차이점을 설명했다. 정치권의 한 인사는 “총선을 앞둔 입장에서 안철수 신당의 정책이 제1야당과 뚜렷이 대비되지 않으면 성공을 장담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내년 총선에서의 야권 연대는 가장 현실적인 문제다. 안 의원은 “연대나 통합은 없다는 원칙은 유효하다”며 더민주당과의 선거연대 가능성을 일축했다. 무소속 천정배 의원 등 호남권 신당과의 연대에 대해서도 가능성만 열어놓은 수준이다. 오히려 천 의원이 “기득권에 찌든 정치인과 손잡고 도로 새정치연합으로 회귀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먼저 선을 긋는 분위기다. 하지만 수도권에서의 야권 분열은 필패라는 암묵적 공식을 무시할 수가 없다. 어떤 식으로든 안철수 신당이 야권 연대의 방향성을 제시해야 한다는 얘기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안철수 신당이 고려해야 할 3가지 과제… ① 탈당파 수용 범위 ② 정책 차별 ③ 선거연대
입력 2015-12-29 2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