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역의원 평가제, 결선투표 기준, 국민참여선거인단 구성 비율.’
새누리당 내 계파 간 공천룰 갈등의 ‘화약고’(火藥庫)다. 공천제도특별위원회가 성탄절 연휴 3일간의 릴레이 회의 결과를 28일 최고위원회의에 보고했지만 이들 사안은 빠져 있었다. 특위가 휘발성 높은 이들 사안을 어떻게 결론 낼지에 ‘공천룰’ 전쟁의 승패가 갈린다는 점에서 아직 본격적인 전투는 시작되지 않은 셈이다.
다만 초반 판세는 친박(친박근혜)계가 유리하다. 특위는 단수후보 추천 허용, 정치 신인 10% 가산점 부여, 여성 정치 신인 20% 가산점 부여, 출마 위해 중도사퇴한 지자체장 등에 대한 10% 감점 등을 최고위에 보고했다.
경선 없이 후보자를 선정하는 단수추천에 영입 인재가 포함되면서 ‘전략공천’의 길이 열린 셈이다. 친박계 이인제 최고위원은 회의 후 “어려운 지역에 좋은 분 영입했는데 조항을 이용해 단수추천하는 게 정치 아니냐”고 말했다. 또 선거에 한번도 출마하지 않은 장·차관과 청와대 인사들을 신인에 분류해 가산점을 주는 것 역시 ‘대구·경북(TK) 현역 물갈이’에 나선 친박계에 유리한 구도를 만들어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직 결론이 나지 않은 현역의원 평가제가 친박계에 유리하게 결론 난다면 현역 의원을 ‘컷오프’한 자리에 경선 없이 후보자를 공천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김무성 대표가 정치적 소신으로 내세웠던 상향식 공천과는 전부 배치되는 것이다. 김 대표는 그동안 “험지에 출마하는 명망가라 해도 지역구 경선을 통해 후보로 결정된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 김 대표는 이날 특위 보고에 대해 “아직 최종 확정되지 않았다”며 말을 아꼈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
與 ‘공천룰’ 초반 판세 친박 勝?… 전략공천 길 열리고 신인 가산점에 장관·靑 참모 유리
입력 2015-12-28 2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