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은평구 주택 균열 사고는 사전에 이미 여러 차례 징후가 감지된 것으로 드러났다. 관할 구청은 주민이 잇따라 위험 신고를 했는데도 안이하게 대응했고, 공사 업체는 땅파기 작업을 하면서 누수 등에 따른 지반침하에 제대로 대비하지 않았다. 세월호 참사 이후 누누이 지적된 안전불감증이 여전함을 적나라게 보여준다.
금이 간 건물 8채는 1971∼1983년에 지어진 낡은 주택이다. 인근에는 지하 1층∼지상 5층 연면적 1717㎡의 도시형 생활주택 2개동 건설 공사가 진행 중이었다. 주민이 처음 위험을 신고한 때는 24일 오후였다. 지반이 내려앉고 균열 조짐이 있다며 은평구청에 민원을 제기한 것이다. 구청 측은 심각하지 않다고 판단해 성탄절 연휴 이후인 28일 대책을 논의키로 하고 현장에서 철수했다. 다음날에도 세 차례 신고가 접수됐지만 구청 측은 이번에도 그냥 돌아갔다. 26일 새벽 이 일대에서 가스 냄새가 난다는 신고가 들어오자 그제야 상황이 심각함을 인식하고 주민 132명에게 긴급 대피령을 내렸다. 관할 구청의 늑장 대응을 질타하지 않을 수 없다. 대형사고로 이어질 뻔해 아찔할 따름이다.
하인리히 법칙이란 게 있다. 대형사고가 발생하기 전에는 29건의 경미한 사고와 300건의 크고 작은 징후가 나타난다는 내용이다. 은평구는 서울시와 함께 이번 사고의 원인을 철저히 조사해 주민들의 불안을 하루빨리 덜어주어야 한다. 이참에 정부도 지자체와 협조해 전국 노후 주택에 대한 전면적인 조사에 들어가길 바란다.
[사설] 다세대주택 붕괴 위험성 내내 무시한 안전불감증
입력 2015-12-28 1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