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표직은 유지, 선거 관련 ‘2선 후퇴’ 제안했지만…

입력 2015-12-27 21:58 수정 2015-12-28 00:25
새정치민주연합 의원 67명이 ‘조기 선거대책위원회’ 중재안을 문재인 대표 등 지도부와 김한길 의원 등 비주류 ‘탈당파’에 공식 제안했다. 문 대표가 대표직은 유지하되 공천권 등 선거 관련 업무에선 손을 떼는 ‘2선 후퇴’ 방안으로 후속 탈당을 막겠다는 것이다. ‘탈당 도미노’ 현상이 중단된다면 문 대표는 이를 받아들이겠다는 입장이지만 김 의원과 박지원 의원 등은 대표 사퇴 없이는 탈당 의사를 접지 않을 태세다.

◇김한길·박지원, 중재안에도 요지부동?=새정치연합 의원 53명은 27일 국회 원내대표 회의실에서 긴급 의원간담회를 열고 후속 탈당 방지 대책을 논의했다. 불참한 의원 중 14명은 자신의 뜻을 간담회 결과에 위임했다. 67명은 당내 의원수의 절반에 달하는 인원이다. 박병석 의원은 간담회 직후 “선대위를 조속히 구성하시도록 당 대표께 요청키로 했으며 최고위원회는 20대 총선에 관한 권한을 선대위에 위임토록 했다”고 밝혔다. 이어 “선대위는 혁신과 통합의 정신으로 구성해 운영하도록 의견을 모았다”고 덧붙였다.

의원들이 중지를 모은 중재안은 사실상 문 대표의 2선 후퇴를 주장한 기존 조기 선대위 방안과 흡사하다. 다만 논란이 됐던 공천룰에 대해서는 당 혁신위원회가 제안하고 당헌·당규에 반영된 ‘시스템 공천안’을 따르자는 식으로 정리됐다.

중재안이 제시됐지만 김 의원과 박 의원 등 사실상 탈당을 결심한 의원들은 입장을 바꿀 의사가 없어 보인다. 김 의원은 김성곤 의원 등을 만나 중재안을 전달받은 뒤 “말씀을 경청했다. 의원님들의 애쓰시는 충정을 이해한다. 저는 이미 문 대표와 직접 많은 대화를 나눴다. 문 대표 역시 저의 뜻을 충분히 알고 계실 것”이라고 밝혔다. 김 의원 측 관계자는 “기존 조기 선대위 안과 차이가 없어서 (탈당을 굳힌 기존) 입장이 바뀔 이유가 없다”고 했다.

박 의원은 탈당을 전제로 호남 지역 신당세력과 만나기 시작했다. 박 의원은 전날 광주에서 무소속 박주선 의원과 만났고, 28일에는 무소속 천정배 의원과 회동할 것으로 알려졌다. 박 의원이 탈당하면 권노갑 상임고문 등 동교동계 인사들의 동반 탈당 가능성도 높다.

◇문재인, 탈당 막을 수 있다면 중재안 받겠다=문 대표는 간담회 직후 김성곤 의원 등으로부터 직접 중재안 내용을 전달받은 뒤 “당의 단합 방안을 찾자는 거 아니겠냐”며 “탈당, 분열 이런 행위들이 멈춰지길 바란다”고 밝혔다. 문 대표는 28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관련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힐 예정이다. 다만 문 대표 측은 이 방안이 후속 탈당을 막아내지 못했을 경우 큰 의미가 없다고 보고 있다. 진성준 의원은 “탈당을 막을 수 있는 안을 마련해 와야 하는데 그게 전제되지 않는 상황에서 중재안이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했다.

의원들은 중재안을 놓고 탈당파 의원들을 계속 만나 설득 작업을 이어가기로 했다. 동시에 설득이 실패하더라도 조기 선대위 체제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문 대표가 당권을 양보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이후 탈당파들과의 명분 싸움과 여론전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논리다. 28일 의원총회가 예정돼 있어 이 자리에서도 관련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

[관련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