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내수시장에 효과적으로 진출하려면 31개 성(省)·시(市)별로 세분화된 진출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코트라가 27일 권고했다.
코트라는 ‘중국 성·시별 진출 정보’ 책자를 발간하고 “중국은 거대한 국토와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돼 있어 지역별로 다른 소비환경과 산업정책을 고려해야 한다”며 이같이 제안했다.
성·시별로 차별화된 진출 전략을 구사하면 숨어 있는 시장을 발굴할 수 있어 대중국 무역의 동부 연안지역 편중 현상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코트라는 내다봤다.
실제로 베이징과 상하이, 광저우 등 중국 동부권역은 막강한 소비력을 갖춘 고소득층이 증가해 유기농 농산품, 건강보조식품, 첨단가전제품 등 고급 수입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하지만 후베이성, 쓰촨성 등 중서부권역은 이제 본격적 소비 확대 단계에 진입하고 있어 의류나 화장품 등 일반 제품에 대한 수요에 더 주목해야 한다고 코트라는 분석했다. 후난성은 ‘중부굴기(中部堀起)’ 정책이 시행되는 대표적 지역으로 기계 및 중장비 산업 중심지로 육성되고 있어 향후 기계·설비 분야 기업들의 진출 기회가 확대될 전망이다.
한승주 기자 sjhan@kmib.co.kr
코트라 “中 31개 省·市별 맞춤 진출전략 세워라”
입력 2015-12-27 2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