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공천제도특별위원회는 내년 총선 공천 때 경선 없이 후보자를 선정하는 ‘단수추천제’를 적용하기로 했다. 김무성 대표가 반대해온 전략공천의 길을 열어둔 것으로 해석돼 논란이 예상된다.
특위는 지난 25∼27일 사흘간 릴레이 회의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 단수추천은 현행 당규에 명시돼 있다. ‘신청자가 1명이거나 복수의 신청자 중 1명의 경쟁력이 월등한 경우’ 중앙당 공천관리위원회 재적위원 3분의 2 이상 찬성으로 단수 후보자를 선정할 수 있도록 했다. 단수추천은 당초 논란이 됐던 우선추천 지역 선정보다 훨씬 더 전략공천에 가깝다는 게 대다수 의원들의 평가다. 우선추천은 여성·장애인 등 정치적 소수자의 추천이 필요한 지역, 또는 공천 신청자가 없거나 신청자들의 경쟁력이 현저히 낮다고 판단한 지역으로 한정돼 있다. 공천관리위가 이런 지역을 먼저 추려 후보자를 정해 내보내는 식이다.
친박(친박근혜)계는 우선추천은 규정대로 하되 단수추천은 전국적으로 적극 활용하겠다는 의지가 강하다. 친박계 한 의원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월등한 후보자가 있는데 전국 모든 지역에서 경선할 필요는 없다”고 했다.
비박(비박근혜)계는 이런 해석을 경계했다. 비박계 한 의원은 “단수추천 요건을 완화하거나 폭넓게 인정하는 방향으로 바뀐 게 아니지 않느냐”며 “현행 당규의 제한된 범위를 준수키로 했기 때문에 친박 의견이 실렸다고 볼 수 없다”고 했다.
야당 지역구를 탈환하기 위해 명망 있는 인재를 영입할 때 우선추천 등의 규정을 준용할 수 있도록 여지를 두는 데는 합의가 된 것으로 전해졌다. 안대희 전 대법관, 오세훈 전 서울시장 등이 ‘험지’에 출마할 경우 경선 없이 공천할 수 있다는 얘기다.
후보 자격심사 규정을 강화키로 한 것은 친박 요구가 반영됐다는 해석이 많다. 현역 의원을 사실상 ‘컷오프’(비율을 정해 공천에서 배제)하는 효과가 있어 김 대표가 내세운 상향식 공천과는 배치된다. 친박은 경선 시 당원·국민 비율도 ‘50대 50’을 주장하는 등 기본적으로 현행 룰대로 하자는 입장이어서 비박이 이를 바꿔야 할 근거를 내놓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與 공천특위, 단수추천제 적용… 非朴, 전략공천 길 열리나 경계
입력 2015-12-27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