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올해는 대공·해안 방어용 단거리 미사일 발사와 개량에 주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중 및 해상 전력이 남한에 비해 약한 상태라 유사시 한·미 연합 해·공군의 접근을 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소식통은 27일 “북한군은 사거리 100여㎞의 개량형 지대공 미사일(KN-06)을 개발 중이고, 함대함 미사일(KN-01) 성능개량작업도 계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소식통은 이 같은 분석의 근거로 올해 북한의 미사일 발사 가운데 KN-06과 SA계열, KN-01의 발사 횟수가 많았던 점을 들었다.
북한군은 지난 3월 SA-2, SA-3, SA-5 등 지대공 미사일 7발을 발사했으며 4월에는 KN-06 2발을 시험 발사했다. KN-06은 차량에 탑재해 기동성을 높이고 크기를 줄인 지대공 미사일로 사거리는 100여㎞로 파악된다.
올해 시험 발사는 지대공 미사일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는 지난 11월 서부전선 대공부대 고사로켓(지대공 미사일) 사격훈련을 참관하면서 지대공 미사일의 현대화와 정밀화를 강하게 주문했다.
북한은 또 해안으로 접근하는 목표물을 타격하기 위해 개량작업 중인 KN-01 미사일을 세 차례나 시험 발사했다. KN-01은 사거리 100여㎞로, 정밀도 개선과 사거리 확대 등을 위해 꾸준한 시험 발사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2월과 5월 동해상 공기부양 전투함에서 7발, 6월에는 육상에서 동해상으로 3발이 시험 발사됐다. 5월과 6월 발사 시에는 김 제1비서가 직접 현장을 지켜봤다. 2월과 4월에 300㎜ 방사포 KN-09 7발, 3월 탄도미사일인 스커드-C 2발, 5월과 11월 잠수함 탄도미사일(SLBM)인 KN-11 2발을 발사했지만 단거리 미사일 발사 횟수보다는 적었다.
정부 소식통은 “북한이 전투임무기 820여대를 보유하고 있지만 미그-29, 미그-23 등 90여대를 제외하면 대부분 구형”이라며 “이 때문에 김 제1비서가 대공전력운용 부대의 전력 보강을 주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
北, 올해 대공 전력강화 주력
입력 2015-12-27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