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공천특별기구가 내년 총선 공천 때 후보자 자격심사를 엄격하게 하는 기준을 만들기로 잠정 합의했다. 특별기구는 다만 숫자를 정해놓고 현역 의원을 탈락시키는 인위적 물갈이는 하지 않기로 했다. 그러나 사실상 ‘컷오프’ 도입을 공식화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당 공천특별기구는 25일 여의도 당사에서 2차 전체회의를 갖고 공천 룰 본 협상에 돌입했다. 위원장을 맡은 황진하 사무총장은 모두발언에서 “공천 룰의 기준은 박근혜정부가 성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 ‘총선에서 승리할 수 있는 룰’ ‘국민으로부터 신뢰받을 수 있는 룰’ ‘당원들이 결집할 수 있는 공평한 룰’ 등 3원칙을 밝혔다.
황 위원장 발언이 끝나자마자 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은 전략공천과 컷오프 도입, 무경선 단수추천 문제를 제기했다. 김재원 의원은 “당헌·당규에 국민참여선거인단 경선과 여론조사 경선, 경선이 없는 단수추천, 우선추천 등 4가지 방식이 나와 있다”며 “당헌·당규에 있는 사실을 없다고 하거나 당헌·당규상 명백한 제도를 문제 삼으면서 특위 활동 방식을 전혀 존중하지 않는 현재의 상황은 자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단수추천제는 당헌·당규에 없다고 언급한 김무성 대표 발언을 겨냥한 것이다. 김 의원은 “당헌·당규를 이해하지 못한 분들은 앞으로 논란을 벌이지 않았으면 좋겠다”고도 했다.
친박 김태흠 의원도 “험지 출마론은 전략공천”이라며 공세에 가세했다. 그는 “(김 대표가 언급한) 전략적 판단이나 전략공천은 똑같은 것”이라며 “전략공천이면서 (전략공천이) 없다고 하니까 국민이 헷갈린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공천에서 중요한 건 상대 후보를 이길 수 있고 경쟁력 있는 후보를 선정하는 것”이라며 “당 일각에서 공정성·투명성만 강조하다보니 승리할 후보(선정)에 대한 논의가 없다”고 주장했다.
친박계 위원들이 공개 발언에서 비박(비박근혜)계를 정면 공격하자 황 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는 인사말 위주로 하고 그런 이야기는 비공개 때 얘기하라”고 역정을 내기도 했다.
친박계는 비공개 회의에서 지역별 정당득표율과 후보자 지지율에 따라 현역 의원 일부를 경선에서 원천 배제하는 컷오프 도입 필요성도 강하게 주장했다고 한다. 황 사무총장은 회의 후 “현역의 경우 의정활동을 열심히 했느냐, 정치 신인들은 얼마나 경쟁력 있는 후보자가 되느냐 등을 따져 자격심사를 세부적으로 공정하게 하자는 취지”라며 “강제적으로 몇 퍼센트를 자르겠다는 식으로 의견을 모으지 않았다”고 말했다. 홍문표 제1사무부총장은 “자격심사를 하다보면 새정치민주연합보다 더 많은 현역이 공천에서 어려울 수 있다. 그런 정도로 자격심사 규정을 (엄격히) 만들자는 것”이라며 “굳이 컷오프 몇 퍼센트 식으로 선을 긋는 건 아니다”고 했다.
한편 특별기구는 경선 시 1, 2위 후보자 득표율이 오차범위 이내일 경우 결선투표를 실시하는 방향으로 의견을 좁혔지만 당원과 국민 참여 비율은 결론내지 못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與 ‘엄격한 공천 심사’ 잠정 합의… 사실상 ‘컷오프’ 도입?
입력 2015-12-25 21:21 수정 2015-12-25 2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