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일 해빙 무드 살려 위안부 문제도 풀자

입력 2015-12-25 17:43 수정 2015-12-25 21:45
한·일 양국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에 한층 속도를 내는 것은 다행한 일이다. 두 나라는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지난달 2일 정상회담에서 조기 타결에 합의한 이후 두 차례 국장급 협상을 벌였으며, 오는 28일 서울에서 외교장관 회담을 개최할 예정이다. 협상에 상당한 진전이 있다는 관측이 잇따르고 있다. 최근 일본 산케이신문 전 서울지국장에 대한 우리 법원의 무죄 판결과 한일청구권협정에 대한 헌재 각하 결정이 분위기 조성에 도움이 됐다는 분석이다. 한·일 관계 개선의 최대 걸림돌인 위안부 문제는 가급적 빨리 해결하는 게 좋다. 한반도 주변 정세가 급변하는 상황에서 우리가 과거사에 얽매여 일본과 계속 대립하는 것은 국익에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일본 언론의 보도를 종합해 보면 일본 정부가 최근 일정한 수준의 양보안을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위안부 문제의 핵심은 일본 정부, 혹은 일본군의 강제동원 인정과 그에 따른 사죄 여부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어떤 형태로든 일본의 책임 인정과 사죄가 이뤄져야 한다. 1993년 ‘고노 담화’가 각별한 의미를 갖는 이유다. 아베 총리가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보내는 편지를 통해 책임과 사죄를 언급하는 방안도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일본 정부가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한 10억원 규모의 새 기금 설립을 검토 중이라는 일본 언론 보도가 사실이라면 이 또한 환영할 일이다. 일본이 최종 협상 과정에서 전향적인 자세를 취할 경우 우리 정부도 일정한 양보를 하는 게 바람직하다.

해결방안 협상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양국 정부가 자국민을 설득하는 문제다. 협상을 적절히 잘 마무리했음에도 두 나라 국민이 한사코 인정하지 않겠다면 난감해진다. 이런 점을 감안할 때 마지막에는 양국 정상이 합동 기자회견을 갖고 협상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솔직히 설명하면서 진정성 있게 양해를 구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