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협상’ 급물살 가능성… 아베, 기시다 외무상 연내 방한 지시

입력 2015-12-24 21:45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한·일 양국 간 최대 현안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기시다 후미오 외무상에게 연내에 한국을 방문하도록 지시했다고 NHK방송이 24일 보도했다. 양측이 11차례나 국장급 협의를 하면서도 입장을 좁히지 못했던 일본군 위안부 협상이 급물살을 탈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아베 총리는 이날 오후 도쿄 총리관저에서 야치 쇼타로 국가안전보장국장, 사이키 아키타카 외무성 사무차관 등과 함께 약 50분간 기시다 외무상을 면담한 뒤 올해 안에 한국을 방문하라고 지시했다. NHK는 아베 총리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연내에 타결하기 바란다는 박근혜 대통령의 의사 등을 고려해 최종 타결을 목표로 기시다 외무상에게 이같이 지시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요미우리신문도 한·일 당국 간 합의가 조만간 도출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요미우리는 “양국 정부는 현안인 군 위안부 문제의 조기 타결을 위해 막바지 협의에 들어갔으며 물밑에서 일치점을 모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기시다 외무상이 28일 방한할 것으로 내다봤다.

아베 총리가 기시다 외무상에게 방한을 지시한 데는 지난 17일 산케이신문 전 서울지국장에 대한 한국 법원의 무죄 판결과 23일 한일청구권협정의 위헌 여부 판단을 회피한 헌법재판소의 결정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한·일 관계 개선의 장애물로 여겨졌던 이들 사안이 잇따라 제거되면서 한·일 양측의 분위기가 호전됐고 위안부 협상도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것이란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아베 총리가 위안부 문제 해결에 대한 모종의 결단을 내렸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양국 정상의 ‘위임’을 받은 외교 수장이 만나 연내에 타결을 하고 양국 외교부 국장들이 내년 초 세부적인 합의를 도출하는 수순이 예상되고 있다.

한·일 외교장관회담에서는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 인정 문제가 최대 쟁점이 될 전망이다. 일본 정부가 예산을 투입할 의료비 지원 등 피해자 지원의 성격을 어떻게 규정하느냐도 관건이다. 한국 측은 법적 책임을 명확히 할 것을 요구해 왔지만 일본 측은 한일청구권협정으로 배상 문제나 법적 책임은 모두 종결됐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외교부는 “양국은 위안부 문제 조기 타결을 위한 협의를 지속해 왔다”며 “한·일 외교장관회담 개최 문제를 포함, 구체적 사항이 결정되는 대로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이종선 조성은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