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와 비주류 진영이 당 분열이라는 최악의 상황에서도 제각각 ‘마이웨이’ 목소리만 높이고 있다. 문 대표가 “당 흔들기를 중단하라”고 하자 김한길, 박지원 의원 등 비주류는 “결단하라”며 대표직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 분당 위기 속에서 출구를 찾지 못하는데도 각자 ‘명분 쌓기’에 돌입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문 대표는 24일 페이스북에 ‘국민이 함께하실 것이라 믿습니다’라는 글을 올리고 “통합의 이름으로 분열을 말하고 당을 위한다 하면서 당을 흔드는 행동을 즉각 그만둘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비주류 진영을 정면 겨냥한 것이다. 특히 “우리가 설령 좀 작아지는 한이 있더라도 더 단단해져야 하고 더 결속해야 한다”고도 했다. 분당까지 감수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문 대표는 또 “당의 단합을 위한 방안은 이미 충분히 제시했다”며 “백번 천번 물어도 저의 답은 똑같다. 혁신과 통합이고, 국민과 함께하겠다는 것”이라고 했다. 앞서 자신이 제안한 조기 선대위가 사실상 양보할 수 있는 ‘마지노선’이라는 뜻이다.
반면 비주류 의원들은 문 대표의 사퇴 없는 조기 선대위는 의미가 없다고 일축했다. 김한길 의원은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들을 만나 “이대로 가면 필패할 수밖에 없다는 건 다들 생각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김 의원은 “저의 고민은 딱 하나 총선 승리의 길을 찾는 것”이라며 “지도부의 변화가 있어야 야권 통합이 가능하고, 그래야 총선 승리, 정권교체를 말할 수 있지 않겠느냐”고 했다. 문 대표 사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탈당 등 결단 시점을 묻는 질문에는 “그만하자”며 말을 잘랐다. 그는 정세균 의원 등 중진들을 만나 당내 상황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기도 했다.
박지원 의원도 광주 MBC라디오에 출연해 “문 대표의 사퇴가 먼저 있어야 국민과 당원의 감동을 얻을 수 있고 또 그것만이 문 대표가 대권가도를 갈 수 있는 길”이라고 했다. 박 의원은 문 대표가 입장을 발표하자 페이스북에 “통합과 정권교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거듭 (결단을) 요청한 것”이라며 “당신 뜻을 안 따른다고 분열을 부추기는 사람으로, ‘작은 당으로라도’ 운운하면 안 된다”고 재반박했다.
광주 연쇄 탈당에 이어 전남의 주승용 의원(여수을)도 탈당을 고심하는 등 비주류의 탈당 행렬은 계속될 전망이다. 이에 대해 친노(친노무현)계 김경협 의원은 페이스북에 “원칙과 소신 없이 때만 되면 여기저기 날아다니는 철새정치! 언제든지 당을 바꿀 수 있다는 기회주의, 분열과 배신의 정치!”라고 맹비난했다.
이런 가운데 분당 위기 수습 방안으로 떠오른 조기 선대위의 ‘불씨’를 살려보려는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조기 선대위를 두고 문 대표와 중진·수도권 의원 간 견해 차이가 있지만 조율이 불가능한 상황은 아니라는 논리다. 중진·수도권 의원들은 조기 선대위 출범에 문 대표를 포함한 지도부 2선 후퇴와 총선 관련 권한 이양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주류 측은 반대하고 있다. 당 핵심 관계자는 “양측의 갈등은 문 대표가 2선으로 후퇴할 경우 공천관리위원장 임명 권한을 선대위가 갖느냐, 문 대표가 갖느냐의 해석 차이 때문”이라며 “양측 입장이 조율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조기 선대위에 대한 당내 공론이 마련되면 이를 바탕으로 비주류의 탈당 흐름에 제동을 걸 수 있다는 것이다.
임성수 고승혁 기자 joylss@kmib.co.kr
[관련기사 보기]
[이슈분석] ‘分黨線’ 탄 새정치… 親文-非文 ‘마이웨이’ 명분싸움
입력 2015-12-25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