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은 비에 감귤 된서리… 저급품 시장 격리 나섰다

입력 2015-12-24 21:01
원희룡 제주지사가 최근 서울 가락동시장을 방문해 감귤 소비촉진 활동을 벌이고 있다. 제주도 제공

최근 잇따른 비날씨로 감귤수확이 지연되고 가격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제주도가 긴급하게 저급품 감귤 시장격리 대책을 내놨다.

제주도는 최근 직면한 감귤 위기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예비비 32억원을 투입해 이달부터 내년 1월 31일까지 저급품 시장격리 사업을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는 비날씨에 의한 부패과 등 저급품 2만t 가량을 시장에서 격리하는 것이다.

도는 우선 내년 1월말까지 농가별 신청을 받고, 읍·면·동 및 지역 농·감협에서 확인한 후 ㎏당 160원을 지급할 계획이다.

본격적인 감귤 수확철인 11월에 제주지역은 1973년 이래 최대 강수량을 보이면서 감귤을 비롯한 농작물 전체에 큰 피해가 발생했다. 12월에도 북부(제주) 10일, 서부(고산) 9일, 남부(서귀포) 10일, 동부(성산) 10일 등의 비날씨가 이어졌다. 이에 따라 이달 중순 전국 도매시장 평균 감귤 경락가격은 10㎏ 한 상자당 1만1272원으로, 2013년과 비교해 18% 가량 하락했다.

비날씨로 수확이 지연되면서 올해산 감귤 처리량도 전체 예상생산량 52만9000t의 37% 수준인 19만6000t에 머물고 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포인트, 2013년과 비교해서는 7%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도는 ‘산지폐기'에 준하는 저급품 시장격리 사업과 함께 고품질 감귤만 출하할 수 있도록 강력한 지도활동을 펼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비날씨 위기상황 극복을 위해 군부대 등과 연계해 수확인력 투입을 확대할 것”이라며 “1인 1상자 감귤 선물하기 등 소비 촉진 캠페인도 대대적으로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