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오세훈 전 서울시장으로부터 험지 출마에 대한 긍정적인 답변을 이끌어냈다. 안대희 전 대법관에 이어 오 전 시장까지 “당의 방침에 따르겠다”는 입장을 내놓으면서 ‘험지출마론’은 일단 순탄한 첫발을 내딛게 됐다.
그러나 험지출마론과 공천특별기구의 후보자 단수추천제 도입 등 총선 공천 전략을 놓고 친박(친박근혜)계를 중심으로 이견도 제기됐다. 험지에 보내놓고 경선을 붙이는 건 전략상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다. 전략공천 도입을 공식화하자는 주장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김 대표는 23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오 전 시장에게 당의 선거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협조해 달라고 했다”며 “결론적으로 ‘당의 방침을 따르겠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말했다. 오 전 시장은 다만 “종로는 새정치민주연합 정세균 의원이라는 거물이 버티고 있는 지역”이라며 “종로가 험지가 아니라고 보는 데에 이견을 갖고 있다. 종로를 포함해 출마 지역을 논의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한다.
김 대표 역시 “종로가 유리한 지역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우리 당의 소중한 자산들이 서로 맞붙는 것을 피하고 다른 지역을 생각해보면 어떻겠느냐고 했다”며 “교통정리를 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험지에 대해서도 “(호남 지역 등) 연고가 없는 지역에 출마하라는 건 어려운 이야기”라며 “이길 수 있는 지역에 보내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전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이재오 의원이 제기한 호남차출론에 대한 반대 의견을 분명히 한 셈이다.
친박계는 험지 출마론에 대해 긍정하면서도 추진 방식에 대해서는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고 있다. 친박 중진 유기준 의원은 오전 라디오에 나와 “험지출마나 전략공천, 우선추천, 단수추천 모두 총선 승리에 부합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것”이라며 “우선추천 지역에다 단수 추천까지 모아보면 전략공천과 다름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홍문종 의원도 “전략공천으로 험지 출마를 하게 해야 한다”며 “험지에 가는 사람을 또 경선을 하게 만들고 거기에서 벌거벗겨서 선거에 임하게 한다는 건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홍 의원은 “본인 스스로 험지 출마를 할 수 있는 사람들이 험지 출마를 얘기해야 한다. 솔선수범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비박계는 그러나 험지 출마가 전략공천과는 다르다는 입장이다, 공천과정 없이 특정인을 지역구에 내리꽂는 방식이 아니라 명망가들을 접전지에 올린 뒤 경선 절차를 거치는 만큼 기존의 전략공천이 아니라는 것이다. 김 대표는 “(험지 출마의) 어드밴티지(혜택)도 없다”고 했다. 단수추천제에 대해서도 “당헌당규에는 없는 말”이라고 했다. 다만 전략기획본부장을 맡고 있는 권성동 의원은 “명망가들은 당내 예비후보자들보다 굉장히 월등한 경쟁력을 갖고 있다. 그런 분들이 단수추천에 해당될 수는 있다”고 말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與 공천전략 계파간 이견… 오세훈도 “험지 출마” 단수추천제 맞물려 논란
입력 2015-12-24 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