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이경원 교수팀은 가톨릭관동대 의대와 함께 2011∼2013년 국내 임질환자 210명(남성 136명, 여성 47명)에게 채취한 임균을 배양한 결과 최대 9%(19개)가 ‘다제내성 임균’으로 확인됐다고 22일 밝혔다.
‘다제내성 임균’은 가장 센 항균제인 ‘세팔로스포린계열’ 약물에도 죽지 않는다는 뜻이다. 임균은 무분별한 성관계를 통해 옮는 임질뿐 아니라 여성에게 자궁내막염과 골반염, 불임을 초래하기도 한다. 내성균주 19개 중 4개는 2011년 일본에서 보고된 ‘고도 내성균’과 유전형이 연관돼 있었다. 이 교수는 “이 4개는 임균 치료의 마지막 보루인 세프트리악손 약물에 대한 고도 내성 임균으로 진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
가장 센 항균제도 안 듣는 임균 확인
입력 2015-12-22 2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