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22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과 같은 해외 감염병과 신종 바이러스, 생물테러 위협 등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경기도 감염병관리 종합계획’ 발표했다.
경기도는 메르스 종식(23일)을 하루 앞둔 이날 브리핑을 통해 감염병 종합관리를 위한 4개 분야 19개 과제에 총 281억원을 투입, 신종 감염병 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종합계획에는 메르스 사태로 절감한 격리치료시설 부족, 역학조사 등 감염관리 전문인력 부족, 감염병 위기·대응 소통 시스템 부재, 취약한 병원감염 환경 등을 개선하기 위한 대책을 담았다.
우선 감염병 관리 및 격리치료 인프라를 대폭 확충한다.
현재 29병상(공공 19, 민간 10)인 음압병상을 2019년까지 총 119병상(도 의료원 90, 민간병원 29)로 늘릴 방침이다. 도 의료원에는 감염병 관리장비 4종도 확보할 계획이다.
도내 51개 의료기관에 선별진료소를 설치하고 보건소에는 전염병환자 이송을 위한 격벽구급차(27대)와 감염관리 장비를 지원한다. 또한 지방정부의 감염병관리 콘트롤타워 역할을 맡을 감염병관리과 신설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권역별 역학조사 기동팀(4개팀 11명) 운영, 도 의료원 감염관리 총괄 책임자 채용, 보건소역학조사반 역량강화 프로그램 상시 운영 등 전문인력도 양성하기로 했다.
민간과 공공병원의 감염병 전문가 등 14명으로 민간협력위원회를 구성하고 시·군별 감염병 정보를 상호제공하는 시스템도 구축한다. 간호사나 간호조무사가 보호자 대신 환자를 돌보는 ‘포괄간호서비스’ 시행, 간호인력 증원(108명), 의료기관 감염관리지원단 신설을 추진한다.
도는 메르스 사태의 전말과 대응과정을 담은 백서 ‘메르스 인사이드-끝나지 않은 이야기’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경기도에서는 올해 메르스 사태로 70명의 확진환자가 발생, 8명이 사망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경기도 감염병관리 종합계획] 2019년까지 음압병상 119개로 확대… 전염병 환자 이송 격벽구급차 지원
입력 2015-12-22 2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