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계파싸움에 빠진 새누리당, 야당과 다를 게 없다

입력 2015-12-21 17:40
새누리당은 21일 내년 20대 총선 공천 방식을 논의하기 위한 특별기구 인선안을 확정했다. 이에 따라 후보자 공천 문제가 핫이슈로 떠오를 전망이다. 문제는 공천 방식을 놓고 당내 친박계와 비박계 간 힘겨루기가 한층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그동안 국회운영 등을 놓고 사사건건 대립해온 양측이 밥그릇싸움을 본격화할 경우 국민 불신이 커질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그런 조짐은 진작 나타났다. 새누리당은 지난 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천특별기구를 구성키로 하고 위원장에 황진하 사무총장을 내정했지만 인선안을 확정하는 데 보름이나 걸렸다. 친박계와 비박계가 특별기구에 자기편 인사를 많이 참여시키려고 신경전을 벌인 탓이다. 결국 확정된 인선안을 보면 위원장을 제외한 12명이 정확히 6대 6이다. 특별기구가 계파 대리전이 될 공산이 크다는 뜻이다. 논의가 진전되지 않을 경우 어디서 결론을 낼지에 대해서도 견해차가 표출되고 있다. 벌써 친박계는 최고위원회의, 비박계는 의원총회를 거론하고 있다.

공천특별기구에선 우선추천지역 선정, 당원과 일반국민의 경선 참여 비율, 결선투표 실시 요건 등이 쟁점이 될 전망이다. 박근혜 대통령의 영향력을 강화해 현역의원 물갈이를 많이 하려는 친박계와 이를 반대하는 김무성 대표 중심의 비박계 간 갈등이 불가피해 보인다. 안타까운 것은 양측 모두 국민들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에는 관심이 없고 오로지 계파 이익에 매몰돼 있다는 사실이다. 안철수 의원 탈당으로 분당 위기에 내몰린 새정치민주연합과 별반 다를 게 없다.

2012년 19대 총선에서 새누리당은 152명을 당선시켜 과반의석을 차지했다. 이번 총선에선 야권 분열로 선거 구도가 더 유리해질 가능성이 높지만 장담하긴 어렵다. ‘안철수 신당’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새누리당 성향의 중도·무당층을 다수 흡수할 경우 의외의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 박 대통령 임기 후반기를 안정적으로 뒷받침하고자 과반의석을 확보하려면 국민 눈높이에 맞게 유능한 후보를 대거 내세워야 한다. 자질이 떨어짐에도 박 대통령과 친하다는 이유만으로 공천하는 것은 금물이다. 당 중진이나 저명인사들을 취약지역에 전략 공천하는 것은 필수다.